청지각적 평가

연구분야 : B121113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언어치료교육

클래스 : 평가/분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068

STNet ID : 1004421

한자 : 聽知覺的評價

d04-02 평가/분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청지각적 음성평가

R1:개념적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음성 장애 [ 音聲障碍 ]

RT (관련어)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과대비성 [hypernasality]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주관적 음성평가 [ 主觀的聲評價 ]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음성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특성

Acoustic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under Stressful Condition

언어치료연구 | 19 | 1 | 2010 | 교육학

발화 과제 유형에 따른 청지각적 평가와 기기적 평가의 상관성 연구- 음성장애 화자 중심으로 -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Perceptual Judgement and Objective Evaluations on Sustained Vowels Versus Continuous Speech with Voice Disorders

언어치료연구 | 21 | 2 | 2012 | 교육학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stener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 on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3 | 2010 | 교육학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stener Training and External Standard on the Reliability of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3 | 2010 | 교육학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의 최근 연구 동향: 문헌적 고찰

Recent Trends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Voice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의 최근 연구 동향: 문헌적 고찰

Recent Trends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Voice Disorders: A Literature Review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rceptual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Voice Quality Evaluat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rceptual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Voice Quality Evaluat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 4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