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화미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기타 인스턴스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086

STNet ID : 1004438

한자 : 炭化米
영어 : carbonized rice

Y99 기타 인스턴스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벼농사

RT (관련어)

 

a03-02 식물 식물

화분 [ 花粉 ]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식물 고고학 () [ 植物考古學 ]

RT (관련어)

 

 

식물 유체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유적 출토 [ 遺蹟出土 ]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江原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벼農事와 農耕集約化

Prehistoric Rice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Gwangwon, South Korea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부여 송국리 유적 수혈의 기능: 제14차 발굴 자료의 검토

Songguk-ri and the practice of crop storage: an archaeobotanical examination of subterranean features

고문화 | 79 | 2012 | 역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