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간 학력 격차의 변화: 학교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Trend i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tudent Achievement: Focusing on the effects of school policy
교육사회학연구 |
22 |
3 |
2012 |
교육학
Evaluating School Performance Using Bayesian Hyper-parameter Estimation Method
베이지안 하이퍼모수 추정방법을 이용한 학교효과 평가
교육문화연구 |
18 |
2 |
2012 |
기타교육학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A Validity Study for Vertical Scal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A Validity Study for Vertical Scal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교육평가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학교급별 도․농 간 학업성취도 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chievement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schools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level
교육사회학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
학업성취도 부가가치에 대한 학교효과 분석
School effects on value-added achievement scores
교육학연구 |
49 |
4 |
2011 |
교육학
교육재정과 학교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Finance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Students Achievement
교육재정경제연구 |
20 |
4 |
2011 |
교육학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 and School Effect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 and School Effect on Collective Teacher Efficacy
교육행정학연구 |
28 |
4 |
2010 |
교육학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 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Are the school performance indicators under school accountability systems valid as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secondary schools?: Validity evaluation in the perspective of school effectiveness theory
교육학연구 |
48 |
1 |
2010 |
교육학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 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Are the school performance indicators under school accountability systems valid as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secondary schools?: Validity evaluation in the perspective of school effectiveness theory
교육학연구 |
48 |
1 |
2010 |
교육학
학업성취 우수 초등학교의 특징과 그 함의- M 초등학교의 사회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Studies Class at M Elementary School
시민교육연구 |
42 |
3 |
2010 |
교육학
학업성취 우수 초등학교의 특징과 그 함의- M 초등학교의 사회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Studies Class at M Elementary School
시민교육연구 |
42 |
3 |
2010 |
교육학
학업성취 우수 중학교의 특성 분석 및 시사점- 사회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s with Goo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Cases of Social Studies Class -
시민교육연구 |
43 |
3 |
2011 |
교육학
학업성취에 대한 학급풍토의 영향
The Effect of Classroom Climate on Academic Achievement
중등교육연구 |
59 |
1 |
2011 |
교육학
학교 야간 학습이 언어, 수리, 외국어(영어) 영역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의 일반계 고교 2학년 재학생을 중심으로-
Impact of self-study at night school on students’ scholastic attainment
교사교육연구 |
51 |
1 |
2012 |
교사교육
외국어 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 성향점수 매칭모형을 활용하여
The School Effect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ppl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한국교육 |
37 |
1 |
2010 |
교육학
외국어 고등학교 학교효과 분석 : 성향점수 매칭모형을 활용하여
The School Effect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ppl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한국교육 |
37 |
1 |
2010 |
교육학
학교효과의 교과간 일관성 검증
Investigating Consistencies of School Effectiveness by Subjects
교육과학연구 |
42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학교 효과 분석 : 평균 향상과 격차 완화의 두 측면에서
A Study on the School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in Terms of Improving Average and Closing a Gap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학교 효과 분석 : 평균 향상과 격차 완화의 두 측면에서
A Study on the School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in Terms of Improving Average and Closing a Gap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