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185

STNet ID : 1004523

한자 :
영어 : Shame
한자 : 恥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원죄 의식 () [ 原罪意識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자아 성찰 () [ 自我省察 ]

RT (관련어)

 

 

수치 () [ 羞恥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c02-01 감정 감정

도덕적 불안 [ 道德的不安 ]

윤동주 시의 ‘독서과정’ 연구 ― ‘수용미학’적 비평의 구체화를 위한 시도 ―

A Study on the 'Reading Process' in Poetry by Yoon Dong-joo ― Attempt to embody criticism in terms of 'aesthetics of recepti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동주 시의 ‘독서과정’ 연구 ― ‘수용미학’적 비평의 구체화를 위한 시도 ―

A Study on the 'Reading Process' in Poetry by Yoon Dong-joo ― Attempt to embody criticism in terms of 'aesthetics of recepti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달래기 힘든 격정(thymos), 그러나 고귀한 격정 -『국가』에서 ‘격정’이 가지는 함축과 분화-

The Spirit Hard to Assuage, but Decent: The Implication and Bifurcation of the Spirit (thymos) in the Republic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Од „штете“ до „срамоте“ и назад Ка старом српском етичком кодексу

Von ,,šteta“ (dem Schaden) bis zu ,,sramota“ (der Schande) und zurück Zum alten serbischen etischen Kodex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이청준의 <눈길>에 나타난 ‘모성성’

A Mother’s Nature on Lee Cheong Jun’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북학(北學)의 감정적 기원에 관한 시론

A study on ‘shame’ appeared in Eulbyeongyeonhaengrok -An Essay on the emotional origin of Bukhak(北學)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체면과 분노 -광주항쟁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hemyon and Anger shown in Gwangju Resist and May Movement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체면과 분노 -광주항쟁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hemyon and Anger shown in Gwangju Resist and May Movement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부끄러움’과 ‘남은 자들’: 최후항전을 이해하는 두 개의 키워드

‘Shame’ and ‘Remnants’: An Interpretation of the Last Stand in Gwangju Uprising

민주주의와 인권 | 12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김수영 초기시의 감정 구조와 그 의미

The structures and the meaning of emotion of Kim, Su-yung's early poems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수영 초기시의 감정 구조와 그 의미

The structures and the meaning of emotion of Kim, Su-yung's early poems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맹목적 욕망과 자기인식의 결여 : 부끄러움[恥]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의 성찰

Blind Desire and Lack of Self-Awareness: Reflection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Shame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Meaning of Shame in Mengzi's Moral Theory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