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SNG의 문화기호학적 고찰
An Analysis of Social Network Game Based on Culture Semiotics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서사와 서사학의 치유적 활용 - 인문치료 방법론의 관점에서 -
Therapeutische Anwendung der Erzählung und der Narratologie
독일언어문학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서사와 서사학의 치유적 활용 - 인문치료 방법론의 관점에서 -
Therapeutische Anwendung der Erzählung und der Narratologie
독일언어문학 |
|
47 |
2010 |
독일어와문학
서사의 원형성과 경험의 동질성 -디지털공론장의 형성과 디지털이미지의 정체성에 대한 시론-
Die narrativen Archetypen und die Homogenität der Erfahrung
독어교육 |
50 |
50 |
2011 |
독일어와문학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치
In Search of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Narrative in Educational Setting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나 죽어가며 누워있을 때』에서 이웃 화자들의 역할: 내러톨로지와 희극적 요소를 중심으로
Non-Bundren narrators' role in As I Lay Dying: Focused on narratology and comic elements
영미어문학 |
98 |
2011 |
영어와문학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A Narratological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Today
시학과 언어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A Narratological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Today
시학과 언어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신명의 매체서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Exploring the concept of shinmyoung-based media narratology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
‘신명의 매체서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Exploring the concept of shinmyoung-based media narratology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
Toward a ‘trans’-narratology: the two curious cases of Benjamin Button - A comparative semiotic study on fiction and film -
‘횡단’서사학을 향하여: 벤자민 버튼의 두 이야기 - 소설과 영화에 대한 비교기호학적 연구 -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Toward a ‘trans’-narratology: the two curious cases of Benjamin Button - A comparative semiotic study on fiction and film -
‘횡단’서사학을 향하여: 벤자민 버튼의 두 이야기 - 소설과 영화에 대한 비교기호학적 연구 -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