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소설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197

STNet ID : 1004533

한자 : 成長小說
영어 : Bildungsroman
동의어(UF) : 발전소설(Entwicklungsroman) 
동의어(UF) : 교양 소설(敎養小說)
동의어(UF) : 형성소설(Novel of Fomation)
동의어(UF) : 입사소설(Initiation novel)
동의어(UF) : 보존소설(Perservation novel)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여성 성장 소설 () [ 女性成長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 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교육 소설 () [ 敎育小說 ]

RT (관련어)

 

 

성장담 () [ 成長談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입사식 [ 入社式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엄마의 말뚝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英雄 ]

황석영의 <입석부근>에 나타난 성장 모티프 연구

A study on growth motif in 「Ipsuk Bugeun(In the vicinity of menhir)」 by Hwang Seok Yeong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의 <입석부근>에 나타난 성장 모티프 연구

A study on growth motif in 「Ipsuk Bugeun(In the vicinity of menhir)」 by Hwang Seok Yeong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선기」에 나타난 정체성 찾기 과정

The Process of Finding the Identity revealed in 『Samseongi』(삼선기)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미성년』에 나타난 주인공의 글쓰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hero's writing in 『A Raw Youth』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미성년』에 나타난 주인공의 글쓰기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hero's writing in 『A Raw Youth』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워더링 하이츠』와 어른이 된다는 것: 상실 혹은/그리고 성장

Wuthering Heights as an Anti-Bildungsroman: Loss or/and Growth

19세기 영어권 문학 | 16 | 2 | 2012 | 영어와문학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Novels and Literature Educa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Novels and Literature Educa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울 1964년 겨울」과 「삼포 가는 길」의 비교 연구-서사 구조와 성장의 의미와 관련하여

A comparative study of 「Seoul Cheongubaekyuksipsanyun gyeoul」 and 「Sampoganeungi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의 아이러니를 배우다 : 줄리앙 소렐과 라스티냑

L’Apprentissage de l’ironie moderne : Rastignac et Julien Sorel

불어문화권연구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근대의 아이러니를 배우다 : 줄리앙 소렐과 라스티냑

L’Apprentissage de l’ironie moderne : Rastignac et Julien Sorel

불어문화권연구 | | 2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황석영 ‘성장 소설’에 나타난 모티프 연구 -「잡초」, 「아우를 위하여」, 「입석부근」을 중심으로-

A Study of Hwang Seok-young's 'growth novel'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성장 소설’에 나타난 모티프 연구 -「잡초」, 「아우를 위하여」, 「입석부근」을 중심으로-

A Study of Hwang Seok-young's 'growth novel'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장하지 않는 자아의 성장 소설 -「자기 앞의 생」에 나타나는 근원적 환상-

Roman de formation et le soi sans formation -Les fantasmes originaires dans La Vie devant soi-

프랑스학연구 | 5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성장하지 않는 자아의 성장 소설 -「자기 앞의 생」에 나타나는 근원적 환상-

Roman de formation et le soi sans formation -Les fantasmes originaires dans La Vie devant soi-

프랑스학연구 | | 5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 나타난 체험을 통한 삶의 발전

Die Entwicklung des Lebens durch das Erlebnis im Werk Siddhartha von Hermann Hesse

헤세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А. П. 체호프의 《약혼녀》 연구 -《약혼녀》의 성장소설적 읽기-

A. Chekhov' 《Nevesta》 as Bildungsroman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А. П. 체호프의 《약혼녀》 연구 -《약혼녀》의 성장소설적 읽기-

A. Chekhov' 《Nevesta》 as Bildungsroman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영이록>의 성장소설적 면모와 교육적 함의 -소운성을 중심으로-

Aspects as a 'Growth Nove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Focus on the character, 'So-Woon-Sung'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윤흥길 성장소설의 세계와 의미

The world and Meaning of Yoon Heung Gil's Growth Novels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