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징후, 원한의 역사성 - 한승원 연작 「안개바다」 읽기
The Signs of ‘Sound’, Record of Rancor - Reading The Foggy Sea, a Sequence of Han Seung-won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소리’의 징후, 원한의 역사성 - 한승원 연작 「안개바다」 읽기
The Signs of ‘Sound’, Record of Rancor - Reading The Foggy Sea, a Sequence of Han Seung-won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재만조선인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강경애 재론
A New Angle into the Koreans at Manchuria in the Colonial Age: Review on Kang Kyeong-Ae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쌍화점>의 담론 특성과 그 문학사적 함의
A study on the Discourse of <雙花店> and its Literary Historical Implications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나환과 소문, 소록도의 기억 -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
The Leprosy and Rumors, Memories of Sorokdo: A philologic analysis on the acknowledgement and Regulation system on lepros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나환과 소문, 소록도의 기억 -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
The Leprosy and Rumors, Memories of Sorokdo: A philologic analysis on the acknowledgement and Regulation system on lepros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외부에서 온 과학, 내부에서 솟아난 ‘소문과 반응’들 -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로 형성된 ‘과학적인 것’
Science from Without, Reactions from Within :the Paradoxes of “Positive Passivity” and the Impulse to “Reject-but- Desire” expressed in rumor/hearsay in Early Colonial Period Korea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쌍화점>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소문의 구성 양상과 기능
Aspects of Rumors in related texts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쌍화점>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소문의 구성 양상과 기능
Aspects of Rumors in related texts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每日申報》
‘The Maeil Sinbo’ as Colonial Public Spherein 1910s
한국언론학보 |
55 |
2 |
2011 |
신문방송학
소문과 권력 -16세기 한 사족 부인의 淫行 소문 재구성-
Rumor and Power: An Intimate Approach to Rumor of Adultery by an Upper-class Woman during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온라인상에서 기업이슈 생성 및 확산
The origination and diffusion of online news and rumors on a company
Korea Business Review |
14 |
2 |
2010 |
경영교육
온라인상에서 기업이슈 생성 및 확산
The origination and diffusion of online news and rumors on a company
Korea Business Review |
14 |
2 |
2010 |
경영교육
소문(所聞)에서 신문(新聞)으로: 『조보』, 대간 제도, 『독립신문』 사이의 내적 연관성
From Rumors to the Press
한국소통학보 |
15 |
2011 |
휴먼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