茶山 丁若鏞의 『讀禮通考』 硏究 初探
A Basic Examination of Dulitongkao(讀禮通考) Studied Critically by Yak-yong Cheong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북한 조선어학의 특징에 대하여 -<조선어학전서>(2005)와 <언어학연구론문색인사전>(2006)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inguistics in North Korea depended on 'The Series on Korean Linguistics(Jeonseo, 2005)' and Index dictionary on Linguistics(Saegin, 2006)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變法運動時期 湖南省 知識人의 書院改革 構想
變法運動時期湖南省知識分子的書院改革構想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變法運動時期 湖南省 知識人의 書院改革 構想
變法運動時期湖南省知識分子的書院改革構想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北渚 金鎏의 인물과 경세관
A Study on harmony between fundamental principles and current affairs of Kim Ryu as a statesman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신문계(新文界)'의 독자투고 문장
Writing Education and Classics in Classical-Chinese in 1910s: About the Correspondence Column in The World of New Culture[新文界]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작문사(作文史)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
A study of the early modern writing text-book in perspective writing history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조의 문체반정과 京華文化
Munchebanjeong of King Jeongjo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스포츠현상에서의 실용주의
Pragmatism in Sports Phenomen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스포츠현상에서의 실용주의
Pragmatism in Sports Phenomen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3 |
2010 |
체육
鍾繇의 書藝硏究
鍾繇的書法硏究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鍾繇의 書藝硏究
鍾繇的書法硏究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篆刻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예술성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 Attended with the Changes of Times in the Seal Engraving
서예학연구 |
17 |
2010 |
서예
篆刻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예술성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 Attended with the Changes of Times in the Seal Engraving
서예학연구 |
|
17 |
2010 |
서예
墨家 倫理學과 墨經
Moist Ethics and the Mojing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墨家 倫理學과 墨經
Moist Ethics and the Mojing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篆刻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예술성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 Attended with the Changes of Times in the Seal Engraving
서예학연구 |
17 |
2010 |
서예
篆刻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예술성 연구
A Study on the Artistic Character Attended with the Changes of Times in the Seal Engraving
서예학연구 |
|
17 |
2010 |
서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