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표성

연구분야 : A090900 인문학 > 언어학 > 기호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373

STNet ID : 1004685

한자 : 有標性
영어 : markedness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표지 () [ 標識 ]

R1:개념적

affects (영향)

 

 

유표화 이론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프라하 학파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후보연쇄 최적성 이론 [ 候補連鎖最適性理論 ]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영어 동명사와 to-부정사 보충절의 도상적 분석

An Iconicity-based Analysis of Gerunds and To-infinitives as English Verb Complements

언어과학 | 18 | 1 | 2011 | 언어학

파찰음 앞 /ㄴ/ 삽입 현상에 관하여

On the /n/-Insertion before Affricates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파찰음 앞 /ㄴ/ 삽입 현상에 관하여

On the /n/-Insertion before Affricates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어 자음군 단순화: 어휘음운론과 최적성이론의 비교

Simplification of English Consonant Clusters: Comparison of Lexical Phonology with OT

언어과학 | 19 | 2 | 2012 | 언어학

Pragmatic Inferences of Some Hybrid Words: An Experimental Pragmatic Analysis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한국어의 위치동화는 왜 수의적인가?

The optionality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revisited

언어와언어학 | 56 | 2012 | 언어학

관용적 이항구조의 어순제약 - 특히 빈도수를 중심으로 -

Constraints on Binomial Idioms from the Point of View of Frequency

언어과학연구 | 52 | 2010 | 언어학

관용적 이항구조의 어순제약 - 특히 빈도수를 중심으로 -

Constraints on Binomial Idioms from the Point of View of Frequency

언어과학연구 | | 52 | 2010 | 언어학

The Origin of Do-Support and Parameter-Resetting

영어영문학연구 | 52 | 2 | 2010 | 영어와문학

The Origin of Do-Support and Parameter-Resetting

영어영문학연구 | 52 | 2 | 2010 | 영어와문학

Minimal Pair Drills: Are They Always an Effective Way to Practice English Vowel Discrimination?

현대영어교육 | 12 | 4 | 2011 | 영어교육

Explanations for Historical Merger and Current Variation of the English Morpheme -ing

언어학 연구 | 21 | 2011 | 기타언어학

독어에서 유표성과 병렬적 명사구의 어순제약

A Study on Markedness and the Word Order Constraint of Parallel NPs in German

언어과학연구 | 61 | 2012 | 언어학

The Status of Markedness in Phonology

음운론에서 유표성의 지위

영어영문학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