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권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403

STNet ID : 1004714

한자 : 王權
영어 : royal authority
영어 : Kingship
동의어(UF) : 국왕권(國王權)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권력 () [ 權力 ]

R1:개념적

RT (관련어)

 

 

황제권 () [ 皇帝權 ]

고구려 5那部의 성립과정과 영역 검토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territory of the 5tribes of Koguryo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고구려 5那部의 성립과정과 영역 검토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territory of the 5tribes of Koguryo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정약용 『經世遺表』 구성의 철학적 원리 : 六經四書에 대한 다산의 經學 註釋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Composition of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76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朝鮮初期 世祖代 佛敎的 祥瑞의 政治的 意味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Buddhist Omen under King Sejo’s Reign in the Early Years of Choson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밀턴의 반감독제 산문에 나타난 영국 종교개혁의 정치성

The English Reformation and Politics in Milton's Antiprelatical Pamphlets

중세근세영문학 | 21 | 2 | 2011 | 영어와문학

高宗時期 『太常志』 編纂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Taesangji(太常志)in the Gojong Period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織田政權의 公家政策과 ‘王權’ ― 1581年 馬揃를 中心으로 ―

織田政權の公家政策と‘王權’-1581年の馬揃を中心に-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織田政權의 公家政策과 ‘王權’ ― 1581年 馬揃를 中心으로 ―

織田政權の公家政策と‘王權’-1581年の馬揃を中心に-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중세 말의 반란과 하층민

The Lower Class in the Urban Revolts in the Late Middle Ages

서양중세사연구 | 25 | 2010 | 역사학

중세 말의 반란과 하층민

The Lower Class in the Urban Revolts in the Late Middle Ages

서양중세사연구 | | 25 | 2010 | 역사학

한국 중세 국가 연구의 방향과 사회인문학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Medieval Korea and Social-Humanities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중세 국가 연구의 방향과 사회인문학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Medieval Korea and Social-Humanities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高宗時期 『太常志』 編纂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Taesangji(太常志)in the Gojong Period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역대 왕들의 감선(減膳): 그 정치적 함의

Gamsun, Its Political Roles and Effects In Chosun Kingship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역대 왕들의 감선(減膳): 그 정치적 함의

Gamsun, Its Political Roles and Effects In Chosun Kingship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新羅下代 遺詔에 의한 王位 繼承 硏究

A Study on the Succession to the Royal Throne by the King's Last Will in the Later Period of the Shilla(新羅) Dynasty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

카시트 바빌로니아 시대의 왕정에 대한 연구

Kingship in Kassite Babylonia

서양고대사연구 | 27 | 2010 | 역사학

카시트 바빌로니아 시대의 왕정에 대한 연구

Kingship in Kassite Babylonia

서양고대사연구 | | 27 | 2010 | 역사학

德治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卽位儀禮 - 덕치와 왕권확립, 그 길항관계의 의례적 구성과 그 해석 -

The Enthronement Rite of Confucian States as the Symbol System of Rule of Virtue - The ritual formation and its interpretation o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rule of virtue and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百濟의 瑞祥과 王權

Auspicious things and royal authority in the period of Baekje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

조선 성종대 전반 언론의 동향과 언론 관행의 형성 - 성종대 언론 발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

The Press Tendency under King Seongjong’s Early Reign and The Formation of Usual Practice of Censorship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대 전반 언론의 동향과 언론 관행의 형성 - 성종대 언론 발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

The Press Tendency under King Seongjong’s Early Reign and The Formation of Usual Practice of Censorship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德治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卽位儀禮 - 덕치와 왕권확립, 그 길항관계의 의례적 구성과 그 해석 -

The Enthronement Rite of Confucian States as the Symbol System of Rule of Virtue - The ritual formation and its interpretation o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rule of virtue and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新昌令推斷日記≫를 통해서 본 中宗代 謀逆事件의 發生背景과 詔獄節次의 實態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Conspiracy to Treason and the Royal Criminal Court Procedure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Studying Sinchangnyeong Chudan Ilgi

법사학연구 | 41 | 2010 | 법사학

≪新昌令推斷日記≫를 통해서 본 中宗代 謀逆事件의 發生背景과 詔獄節次의 實態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Conspiracy to Treason and the Royal Criminal Court Procedure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Studying Sinchangnyeong Chudan Ilgi

법사학연구 | | 41 | 2010 | 법사학

고려 말 국왕 잔치의 양상 및 왕권

The Aspects of King’s Parties and Royal Power in Late Goryeo (from King Gongmin to King Gongyang)

역사교육 | 122 | 2012 | 역사학

불교의 사회참여 문제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仏教の社会参与の問題 - 初期仏教を中心に -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불교의 사회참여 문제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仏教の社会参与の問題 - 初期仏教を中心に -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民의 대척점에 선 「王權」의 표상 ; 「天皇」과 「征夷大將軍」

Representation of Imperial Authority in Contrast with Civil Power; 「Emperor」 & 「Great Gen. Jungi(征夷)」

日本思想 | 20 | 2011 | 철학

[중용](中庸)과 세종(世宗)의 정치: ‘구경(九經)’을 중심으로

Zhongyong and King Sejong's Politics: Focusing on 'Jiuji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琉璃明王의 黃鳥歌 硏究 ― 작품 속에 드러난 情調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ng of Yellow Birds" of King Yuri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琉璃明王의 黃鳥歌 硏究 ― 작품 속에 드러난 情調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ng of Yellow Birds" of King Yuri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경전 상에 나타난 호국불교의 검토

Critical Review of Defender of the Nation as a Major Buddhist Concept in Buddhist Texts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the Regal Authority in the Middle Ages of Silla Dynasty and Esoteric Buddhism(密敎)

동국사학 | 49 | 2010 | 역사학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the Regal Authority in the Middle Ages of Silla Dynasty and Esoteric Buddhism(密敎)

동국사학 | | 49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