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사유의 권위적 특성과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에 대하여
Autoritaerischer Charakter des modernen Denkens und eine Alternative
가톨릭철학 |
14 |
2010 |
철학
근대적 사유의 권위적 특성과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에 대하여
Autoritaerischer Charakter des modernen Denkens und eine Alternative
가톨릭철학 |
|
14 |
2010 |
철학
마을의 잔치문화에 갈무리된 축제성과 인간해방의 길
Detection of Festiveness of Party Culture Inherent in Village Festival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권력 교체기 한중 리얼리즘 시의 즉흥과 변주
Impromptu and Variation of Korean & Chinese Poetry in 1998-2001
석당논총 |
51 |
2011 |
기타인문학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ve curriculum of Paulo Freire
한국교육학연구 |
17 |
1 |
2011 |
교육학
민속학의 눈으로 본 전통적 미풍양속의 가치 재인식
A New Understanding about Value of Traditional Beautiful and Fine Customs in the Viewpoint of Folklore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민속학의 눈으로 본 전통적 미풍양속의 가치 재인식
A New Understanding about Value of Traditional Beautiful and Fine Customs in the Viewpoint of Folklore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민속문화의 여성성과 민속학의 여성주의적 문제의식
Feminity of Folk Culture and Feministic Critical Perspective of Folklore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