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입법

연구분야 : B130202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행정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72

STNet ID : 1004874

한자 : 行政立法
영어 : administrative legislation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위임입법 [ 委任立法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행정 규칙 () [ 行政規則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규명령 [ 法規命令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집행명령 [ 執行命令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위임명령 [ 委任命令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입법권 [ 立法權 ]

RT (관련어)

대응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의원입법 [ 議員立法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총리령 [ 總理令 ]

독일 행정법원법에서의 규범통제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우리 행정소송법 개정 논의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Das prinzipale Normenkontrolleverfahren in §47 deutsche VwGO

행정법연구 | 32 | 2012 | 법학

공정거래법 집행자로서의 공정거래위원회의 역할과 과제-행정입법에 대한 검토를 소재로

Roles and Tasks of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as an Enforcer: with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a Material for Discussion

서울대학교 법학 | 52 | 2 | 2011 | 법학

抽象的規範統制 導入을 위한 試論* -行政立法에 대한 規範統制를 中心으로-

A Study for Induction of ''Abstract Review on Norm'' - Focusing on Administrative Legistlation -

법학논총 | 25 | 2011 | 법해석학

헌법 제107조 제1ㆍ2항은 추상적 규범통제를 배척하는 의미인가 ― 지방자치법 제107ㆍ172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Does Constitutional Law Article 107(1ㆍ2) mean that abstract review of norm is not permitted - In Focus of its relation with Local Autonomy Act Article 107․172 -

행정법연구 | 28 | 2010 | 법학

헌법 제107조 제1ㆍ2항은 추상적 규범통제를 배척하는 의미인가 ― 지방자치법 제107ㆍ172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Does Constitutional Law Article 107(1ㆍ2) mean that abstract review of norm is not permitted - In Focus of its relation with Local Autonomy Act Article 107․172 -

행정법연구 | | 28 | 2010 | 법학

행정입법의 통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원광법학 | 28 | 2 | 2012 | 기타법학

행정소송법상 ‘처분’ 개념의 확대와 관련된 여러 문제 - 현행법을 중심으로 -

L'élargissement du concept de 'acte administratif coréen(處分)' et d'autres problèmes qui le suivent - L'accent est mis sur les législations actuelles -

사법 | 1 | 18 | 2011 | 법정책학

행정입법의 일환으로서 한국은행 규정의 의의, 성격 및 효력

The Definition, Character and Effect of Regulations of the Bank of Korea as a Par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금융법연구 | 7 | 1 | 2010 | 법학

행정입법의 일환으로서 한국은행 규정의 의의, 성격 및 효력

The Definition, Character and Effect of Regulations of the Bank of Korea as a Par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금융법연구 | 7 | 1 | 2010 | 법학

국회법상 행정입법검토제도의 현황과 법정책적 과제

Statu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view System under National Assembly Act and Its Legal and Policy Issues

행정법연구 | 33 | 2012 | 법학

무권한 법규명령에 대한 국회의 통제기준 (II)

The Legislative Review of Administrative Rulemaking without Delegation (II)

유럽헌법연구 | 7 | 2010 | 헌법

무권한 법규명령에 대한 국회의 통제기준 (II)

The Legislative Review of Administrative Rulemaking without Delegation (II)

유럽헌법연구 | | 7 | 2010 | 헌법

행정입법에 대한 헌법적 통제

Constitutional Regulation on Administrative Lawmaking

한국정당학회보 | 11 | 1 | 2012 | 정치권력/정치과정

독일의 이론과 경험을 통해 본 행정입법의 정치적 성격과 이에 대한 통제

politische Charakter der Rechtsverordung und dessen Kontrolle insbesondere ueber Theorien und Erfahrungen von BRD

공법연구 | 40 | 4 | 2012 | 법학

행정규칙의 법적 성질 再論

Rechtsnatur der Verwaltungsvorschriften

행정법연구 | 31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