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매체

연구분야 : B19000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12

STNet ID : 1004902

한자 : 言論媒體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잡지 () [ 雜誌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신문 [ 新聞 ]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라디오 [radio]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문화 계발 효과 이론 [ 文化啓發效果理論 ]

RT (관련어)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프레임 분석 () [ --分析 ]

RT (관련어)

 

 

대중 매체 () [ 大衆媒體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미디어 () [media]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소리}

Lexical Information of {soli [(a) sound/ a voice/ a balla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소리}

Lexical Information of {soli [(a) sound/ a voice/ a balla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1920∼30년대 조선은행의 금융활동에 대한 조선 내 여론 동향

The trend of the public opinion about the financial activities of the Bank of Joseon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1930s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프랑스어 조동사의 어휘정보에 대하여

Sur l'information lexicale des auxiliaires en français

프랑스어문교육 | 3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근대한문학의 성격과 辛亥唫社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the Shinhaeumsa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근대한문학의 성격과 辛亥唫社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the Shinhaeumsa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명예회복처분으로서의 사죄광고 배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n Abatement of Notice of Apology as Measures for Restoration of Honor

동아법학 | 49 | 2010 | 법학

명예회복처분으로서의 사죄광고 배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n Abatement of Notice of Apology as Measures for Restoration of Honor

동아법학 | | 49 | 2010 | 법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A Study on the Lexical Information of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for Korean Learners.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A Study on the Lexical Information of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for Korean Learners.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역사․전기 단형서사의 언론 매체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Newspapers and Journals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간형용사 어휘 정보 연구 - {높다}를 중심으로

Studies of the lexical information of spatial adjectives for Korean learners - focused on “high”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親日의 도구, 漢詩 그리고 클리셰(Cliché)

The way of pro-Japanese, Chinese Poem and Cliché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親日의 도구, 漢詩 그리고 클리셰(Cliché)

The way of pro-Japanese, Chinese Poem and Cliché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언론보도에 따른 이태원관광특구 이슬람음식의 사회적 거리감

Social Distance Induced by Mass Media Toward Islamic Foods at the Itaewon Special Tourist Zone

관광학연구 | 36 | 1 | 2012 | 관광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냄새}

Lexical Information of {naimsai냄새 [(a) smell/ (an) odor/ (a) sc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