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식물
기타주제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56

STNet ID : 1004924

한자 :

a03-02 식물

Z99 기타주제어

추천범주_t

문학 소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꽃 문양 () [ --文樣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플라워 디자인 [flower design]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화계 [ 花階 ]

아시아 속의 제주도 문화 — 일본의 민속학․민족학 논고의 궤적을 찾아 —

アジアの中の濟州島文化 —日本の民俗學․民族學の論考を追いながら—

탐라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이미지와 공간 -「달」, 「늪」, 「진달래」를 중심으로-

The Mythical Image and Space in Donglee Kim's Novels: Focusing on The Moon, Swamp, and An Azale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남부 소수민족 신화에 나타난 꽃의 여신[花婆]과 민속, 그리고 서천꽃밭

A Study on the Flower Goddess, Folklore and the Western-Sky Flower Garden that appear in the Mythology of Minority Peoples in Southern China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의궤에 보인 준화의 형태와 의미

Meanings and Forms of Junwha Presented in Uigue

남북문화예술연구 | 10 | 2012 | 기타예술일반

릴케의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에 나타난 동물, 꽃과 과일 모티프

Die Motive in Rilkes Sonetten an Orpheus wie Tier, Blume und Frucht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김동리 시집『패랭이꽃』에 대한 연구

A Study on『Chinese Pink』in Kim Dong-ri's Collection of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화전> 연구

A study of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셰익스피어의 꽃과 일상생활

Shakespeare's Flowers and Everyday Life

Shakespeare Review | 47 | 3 | 2011 | 영어와문학

화훼디자인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A Research on Precedence Case Studies about Floral Design Trend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화훼디자인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A Research on Precedence Case Studies about Floral Design Trend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박지원·이덕무·이옥의 경우-

The observation and the literary criticism on the ecology of flow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ark Ji-won(朴趾源), Lee Duck-mu(李德懋), Lee Ok(李鈺) -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꽃 소재 작품을 통해 본 고시조의 미의식 -<靑丘永言> 珍本과 六堂本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jo about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꽃 소재 작품을 통해 본 고시조의 미의식 -<靑丘永言> 珍本과 六堂本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jo about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고전소설에 나타난 꽃의 문예적 조명

The literary light Of The Flowers That Appear In The Classical Novels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송설당 가사에 나타난 꽃의 의미화 방식

The way of meaning of flowers appearing in Choi-songsuldang gasa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최송설당 가사에 나타난 꽃의 의미화 방식

The way of meaning of flowers appearing in Choi-songsuldang gasa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아르누보 문양 이미지를 응용한 바디 아트 연구 (제1보) - 꽃과 유기적인 아르누보 문양을 중심으로 -

The Body Art Research which applies Art Nouveau Pattern Image (Ver.1) - Focused on Floral and Organic Art Nouveau Pattern Image -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

아르누보 문양 이미지를 응용한 바디 아트 연구 (제1보) - 꽃과 유기적인 아르누보 문양을 중심으로 -

The Body Art Research which applies Art Nouveau Pattern Image (Ver.1) - Focused on Floral and Organic Art Nouveau Pattern Image -

패션과 니트 | 8 | 2 | 2010 | 패션디자인

요시야 노부코(吉屋信子)의 『꽃이야기(花物語)』론 -「해바라기」와 「물망초」에서 나타난 믿음의 형성-

吉屋信子の『花物語』論 - 「向日葵」と「忘れな草」に表われた〈信〉の形成 -

한일군사문화연구 | 12 | 2011 | 기타군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