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환의 미국 서부 기행과 아메리카니즘
Park In-hwan's Journey to the American West and Americanism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정비석의 <유혹의 강>(1958)을 대상으로
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ost-war modernization and dangerous widow - [River of Temptation] written by Jeong bi-seok-oriente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정비석의 <유혹의 강>(1958)을 대상으로
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ost-war modernization and dangerous widow - [River of Temptation] written by Jeong bi-seok-oriente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Die Beziehung zwischen Deutschland und Amerika während der Nachkriegszeit in Wolfgang Koeppens Roman Tauben im Gras
볼프강 쾨펜의 소설 「풀밭 위의 비둘기들」에 나타난 전후 독일과 미국의 관계
독어독문학 |
52 |
4 |
2011 |
독일어와문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생 잡지 『학원』의 성격과 의의 -195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Hakwon, as a youngsters magazin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시단과 '한국전후문제시집'
Poetical circles in the 1960s and the ‘Anthology of Korean Post-war Poetry’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현실과 섹슈얼리티: 손창섭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Post-War Korean Society and Sexuality: Focusing on Short Stories of Sohn Chang Seob Jeon, Sung-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전후의 현실과 섹슈얼리티: 손창섭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Post-War Korean Society and Sexuality: Focusing on Short Stories of Sohn Chang Seob Jeon, Sung-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가 본 전쟁 -『뜬구름(浮雲)』을 중심으로-
林芙美子が見た戦争 ─『浮雲』を中心に─
한일군사문화연구 |
12 |
2011 |
기타군사학
강신재 소설의 여성성 연구
A Study on Femininity in Kang shinjae's Novel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두 개의 전쟁, 하나의 인식 : 백철의 전후비평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이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ek Chul's literary criticism after the Korean War: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Korean War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