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유아

연구분야 : B121101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유아교육

클래스 : 인간(연령)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94

STNet ID : 1004947

한자 : 一般 幼兒
영어 : general infant

a01-02-02 인간(연령)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1

영유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또래 관계 [ --關係 ]

유치원 일과와 활동에 삽입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이 일반유아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수용도 및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ability Awareness and Inclusion Activities for Preschool Classrooms』Embedded in Preschool Routine/Activities on Social Acceptance and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유아특수교육연구 | 11 | 2 | 2011 | 교육학

역통합교실 내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형성에 관한 문화기술지

An Ethnographic Study about Peer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a Reversely Inclusive Early Childhood Classroom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역통합교실 내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형성에 관한 문화기술지

An Ethnographic Study about Peer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a Reversely Inclusive Early Childhood Classroom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친구하기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Friend Program' on infants' attitudes of accepting disabilities

지적장애연구 | 12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친구하기 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Friend Program' on infants' attitudes of accepting disabilities

지적장애연구 | 12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통합경험 여부에 따른 일반유아가 인식한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The ima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general young children with or without integrated experience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15 | 1 | 2011 | 사회과학교육

일반유아와 ADHD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상호 인식

An inquiry of mutual recognition shown in interaction between general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with ADHD

아동교육 | 20 | 2 | 2011 | 유아교육

장애유아 어머니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과 실제 활용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o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between Mothers of General Young Children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Strategy

발달장애연구 | 15 | 4 | 2011 | 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