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

연구분야 : F010100 농수해양 > 농학 > 농학일반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14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농업 [ 農業 ]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복제(replica)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토기 압흔 분석

Research on plant impressions found on Bronze Age pottery by means of replication

야외고고학 | 8 | 2010 | 고고학

복제(replica)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토기 압흔 분석

Research on plant impressions found on Bronze Age pottery by means of replication

야외고고학 | | 8 | 2010 | 고고학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원삼국시대 중부지방 작물조성(作物組成)의 특징과 그 형성 요인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고구려 음식의 추이와 식재료 연구

A Study on the Food Progress and Materials Of Goguryeo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百濟漢城期의 水田에 대하여 - 화성 송산동 농경유적을 중심으로 -

Rice Paddy of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ed on Agricultural Remains in Songsandong, Hwaseong

고고학 | 10 | 2 | 2011 | 역사학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A Study on the Hainuwele Myt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 “Origin of Wheat”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밀의 기원>담의 Hainuwele신화적 성격

A Study on the Hainuwele Myt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 “Origin of Wheat”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

Raising the Problem Of the Incipient Phase in the Bronze Age Culture of Gangwon Province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강원도 청동기문화 전개에 있어서 조기문제의 제기

Raising the Problem Of the Incipient Phase in the Bronze Age Culture of Gangwon Province

고고학 | 9 | 1 | 2010 | 역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식물유체를 통해 본 원삼국시대 도작의 성격

Rice Cultivation during the Proto–Three–Kingdoms period in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江原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벼農事와 農耕集約化

Prehistoric Rice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Gwangwon, South Korea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作物섭취량 변화를 통해 본 農耕의 전개 과정 –한반도 유적 출토 人骨에 대한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Intensification of millet and rice agriculture in Korea –evidence from stable isotopes–

한국상고사학보 | 73 | 73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