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 조사

연구분야 : A020601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고고학이론

클래스 : 연구/조사방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31

STNet ID : 1004994

한자 : 發掘調査
영어 : Excavation Survey

d03-01 연구/조사방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구제발굴 ()

hasKind (종류)

 

 

학술 발굴 ()

R1:개념적

hasPatient (대상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고고학자 [ 考古學者 ]

RT (관련어)

 

 

유물 (유적) [ 遺物 ]

정읍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의 현황과 보존관리

The Present Status and the Preservation & Management in Historic Site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Jeongup

전북사학 | 38 | 2011 | 역사학

朝鮮時代土壙墓調査方法에 대한 一考

Consideration on the Investigation of Pit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야외고고학 | 11 | 2011 | 고고학

서울 한양도성 축성시기별 성벽 형태 및 구조 고찰

A Study on time-periodic form and structure changes of Seoul Hanyang Capital Fortress

서울학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관음성지 양양 낙산사 복원불사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restoration process and outcome in "Nak-San Temple " of Kwan-yin(Avalokitesvara) holy plac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이명박 정권 매장문화재 정책의 문제점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oward the Buried Cultural Properties

역사비평 | 100 | 2012 | 역사학

전통지식 발굴조사 방법론 구축과 지적재산권 연계 방안

The Construction of Excavation Survey Methods for Traditional Knowledge and Connection Measur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문화정책논총 | 26 | 2 | 2012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