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두칠성

연구분야 : B111200 사회과학 > 인류학 > 종교및민속신앙

클래스 : 천문(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34

STNet ID : 1004997

한자 : 北斗七星

x01-06 천문(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칠성 () [ 七星 ]

UF (비우선어)

 

 

북두성 () [ 北斗星 ]

UF (비우선어)

 

 

북두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칠성신 () [ 七星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칠원성군 () [ 七元星君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칠성 신앙 () [ 七星信仰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민간 신앙 [ 民間信仰 ]

간지(干支)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결합시대(結合時代)

干支與陰陽五行的結合時期問題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동아시아 ‘天孫降臨思想’의 원형 연구 - 倍達古國의 ‘北斗(삼신하느님)신앙’과 천둥번개신(雷神) 桓雄 -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idea of Chunson's descent(天孫降臨思想) in East Asia - the Big Dipper belief(the Samsin-Hananim belief) and the lightninggod(雷神) Hanwoong(桓雄) in Baedalkook(倍達國) -

백산학보 | 91 | 2011 | 역사학

고려시대 능성 운주사에 대한 탐색

A Study of Wunju Temple in Neungseong in Koryeo Dynasty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백제 칠지도의 상징

Symbolic Representations of Baekje’s Chiljido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耽羅 七星圖 관련 기록과 축조시기

The Historical Research of Tamra Chilsungdo Remains - About literature analysis and construction time -

사림 | 42 | 2012 | 역사학

성수신앙의 일환으로서 북두칠성의 신앙적 화현 양상

A Study on the Patterns of Religious Manifestations of the Big Dipper as a Constellation Faith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