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체제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78

STNet ID : 1005032

한자 : 鎭管體制

d02-01 사회제도

시대9

조선 전기 (朝鮮前期)

목적_t

방위를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BT (상위어)

 

 

방위체제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수군절도사 () [ 水軍節度使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병마절도사 () [ 兵馬節度使 ]

RT (관련어)

 

 

지방방위체제

RT (관련어)

 

 

군정(군사) [ 軍丁 ]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77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진법훈련 체계의 변화 - 이른바 오위진법과 진관체제의 성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 in Battle Formation Exercise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Centering on Establishment of the So-called Owijinbeop and Jingwancheje -

역사와 실학 | 46 | 2011 | 기타역사일반

17세기 수군방어체제의 개편

Reorganization of Defence System of the Naval Force of 17th Century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17세기 수군방어체제의 개편

Reorganization of Defence System of the Naval Force of 17th Century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오이라트의 위협과 조선의 방어전략 - 진관체제 성립의 역사적 배경 -

The Warning of Oirat's Invasion and Chosun's Defense strategy

역사와 실학 | 46 | 2011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