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분류

연구분야 : A020601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고고학이론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96

STNet ID : 1005043

한자 : 型式分類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Patient (대상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고고학자 [ 考古學者 ]

RT (관련어)

 

A04 인공물 인공물

유물 () [ 遺物 ]

RT (관련어)

 

c01-05 분포 분포

편년 () [ 編年 ]

RT (관련어)

 

 

고고학적 자료

古代 石築山城 懸門 調査硏究

Research on the Suspended Gates(Hyeonmun) of Ancient Stone Mountain Fortresses

야외고고학 | 12 | 2011 | 고고학

신석기시대 야외노지에 대하여 -형식분류를 중심으로

Open-Air Hearths of the Neolithic

고고학 | 10 | 2 | 2011 | 역사학

南韓地域 粘土帶土器의 登場과 擴散過程

The Advent and Spread of Clay-Stripe Pottery Across South Korea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南韓地域 粘土帶土器의 登場과 擴散過程

The Advent and Spread of Clay-Stripe Pottery Across South Korea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楡樹老河深』보고서 재검토를 통한 묘역구분과 조성연대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Separation of Graveyard Remains and Its era of Construction Through A Review of『 Yoosoo Nohashim』Report

고고학 | 11 | 1 | 2012 | 역사학

고고자료로서의 목간

考古資料としての木簡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고고자료로서의 목간

考古資料としての木簡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