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석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01

STNet ID : 1005045

한자 : 畵像石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벽화 [ 壁畵 ]

R1:개념적

RT (관련어)

 

 

장식화상

RT (관련어)

 

 

후한시대 (25-220) [ 後漢時代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무량석실 화상석

中國古墳繪畵의 淵源硏究-戰國時代∼漢代楚文化를 중심으로-

The Beginning of Funerary Paintings in Chinese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고대 동아시아 상장미술의 표현

The expression of the old East Asian funeral art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 -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A Study on Octagonal Angled Elements of the Ancient Chinese Architecture-For the view of Gogurye's octagonal angled pagodas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중국미술사의 고분미술 연구사

古代墓葬与中国美术史的写作

美術史論壇 | 30 | 2010 | 미술

중국미술사의 고분미술 연구사

古代墓葬与中国美术史的写作

美術史論壇 | | 30 | 2010 | 미술

漢代 畵像石에 반영된 祭祀藝術樣式 -武梁祠堂樓閣拜禮圖를 중심으로-

Art of Ancestral Rites Reflected in the Han-dynasty’s Paintings Carved on Stone -As a view of 'Blueprints of a palace for salutation'-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漢代 畵像石에 반영된 祭祀藝術樣式 -武梁祠堂樓閣拜禮圖를 중심으로-

Art of Ancestral Rites Reflected in the Han-dynasty’s Paintings Carved on Stone -As a view of 'Blueprints of a palace for salutation'-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秦漢代 주택의 구조와 가족생활

秦漢時期民間房屋的結構與家庭生活

동양사학연구 | 112 | 2010 | 역사학

秦漢代 주택의 구조와 가족생활

秦漢時期民間房屋的結構與家庭生活

동양사학연구 | | 112 | 2010 | 역사학

中國 河南省 南陽 麒麟崗漢墓 硏究

The Study of Han Dynasty Relief Sculpture Tomb at Qilingang, Nanyang, Henan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中國 河南省 南陽 麒麟崗漢墓 硏究

The Study of Han Dynasty Relief Sculpture Tomb at Qilingang, Nanyang, Henan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漢代 畵像石에 나타난 自然觀

A Study of revealed Natural Concept in Huaxiangshi (Han-Dynasty Pictorial Stone Carvings)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漢代 畵像石의 宴飮과 飮酒禮 - 禮制의 지방정착화와 관련한 試論 -

Ritual in Huaxiangshi during Han Empire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한대 화상석의 조형적 표현 연구 - 현대 디자인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e Pictorial Carved Stone in Han Dynasty - Focused on the Use of Contemporary Design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2 | 2010 | 예술일반

한대 화상석의 조형적 표현 연구 - 현대 디자인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e Pictorial Carved Stone in Han Dynasty - Focused on the Use of Contemporary Design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2 | 2010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