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사

연구분야 : B130000 사회과학 > 법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63

STNet ID : 1005098

한자 : 內査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수사 기관 (搜査機關)

행위대상(자)

범죄 (犯罪)

목적_t3

범죄의 혐의유무 확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실사 [ 實事 ]

UF (비우선어)

 

 

뒷조사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경찰 내사 [ 警察內査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입건 [ 立件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내 슬픔에 대해 글쓰기’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writing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writing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내 슬픔에 대해 글쓰기’를 중심으로

Self-expression writing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writing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2011년 개정 형사소송법 제196조에 대한 평가와 과제

A valuation and subject on § 196 of the 2011' revised-criminal procedure

형사법의 신동향 | 33 | 2011 | 형법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나는 애도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Freud’s and Derrida’s Theories of Mourning: “I Mourn Therefore I Am”

영어영문학 | 58 | 4 | 2012 | 영어와문학

수사개시권 남용의 원인과 그 개선방안

The Cause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on the Ill-use of Crime Recognition Right

법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개정 형사소송법상 경찰의 수사개시권 및 검사의 수사지휘권의 내용과 한계

Möglichkeiten und Grenzen polizeilicher und staatsanwaltschaftlicher Tätigkeit im Ermittlungsverfahren nach der Neufassung des § 196 KStPO

형사정책연구 | 22 | 3 | 2011 | 법학

사법경찰관의 수사개시권의 통제에 관한 연구 - 사법경찰관의 내사의 통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ight to start investigation by the judicial police in Criminal Procedure - Focused the need to control the internal investigation of the judicial police -

형사법의 신동향 | 34 | 2012 | 형법

수사기관의 내사의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Legal Problems with Internal Investigation by Investigation Agencies and the Plans for Improvement

가천법학 | 5 | 1 | 2012 | 법학

형사소송법 등 개정에 따른 검사와 사법경찰관리의 지휘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Le changement de relation entre le procureur et l'officier de police judiciaire à la suite de révision du Code de procédure pénale

동아법학 | 55 | 2012 | 법학

개정 검찰사건사무규칙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Revised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한국경찰학회보 | 14 | 4 | 2012 | 행정학

내사의 허용범위와 통제방안

The allowance scope and legal control of internal investigation

법학연구 | 22 | 3 | 2012 | 기타법학

개정 형사소송법상 검경관계의 특수문제 - 특히 내사와 피의자 호송(인치)에서의 검경관계 -

Das Spezielle Problem des Verhältnisses von Staatsanwaltschaft und Polizei in der Reformierten KStPO vom 30. Juni 2011

경찰학연구 | 12 | 3 | 2012 | 법학

독일 형사소송법상의 내사제도

Vorermittlungen im Deutschen Strafprozeßrecht

비교형사법연구 | 14 | 1 | 2012 | 법학

사법경찰관리의 내사와 검사의 지휘

Pre-investigation Activities by the Judicial Police and the Direction of the Public Prosecutor

경찰학연구 | 12 | 2 | 2012 | 법학

경찰내사의 효율적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ntrol Plan of Police Pre-Investigation

한국경찰연구 | 10 | 4 | 2011 | 사회과학

내사와 수사의 구별 기준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01. 10. 26. 선고 2000도2968 판결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cope of Inquiry and Investigation

형사법의 신동향 | 34 | 2012 | 형법

수사기관 내사의 문제점과법적통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ve Agency’s Internal Investigation and Legal Regulation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

내사 관련 개정 형사소송법 대통령령 법무부 초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L'analyse critique de l'avant-projet du décret présidentiel sur le code de procédure pénale concernant de l'enquête confidentielle

경찰학연구 | 11 | 4 | 2011 | 법학

내사의 허용범위와 통제방안

Allowable Scope and Control Method of Inquiry

법학논집 | 16 | 1 | 2011 | 기타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