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준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78

STNet ID : 1005111

한자 : 批准
영어 : ratification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o1

조약 체결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Patient (대상자)

 

 

조약체결권자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조약체결동의권 () [ 條約同意權締結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전권 위원 [ 全權委員 ]

중국 기업의 시장 접근제도에 관한 소고

Inquiry into the Market Access System of Enterprises in China

유라시아연구 | 8 | 3 | 2011 | 기타사회과학

18대 국회 통상절차관련법안의 주요내용 분석 및 비판

Critical Analysis on the Drafts of Trade Negotiation Procedure Laws under 18th National Assembly

통상법률 | 102 | 2011 | 법학

헌법상 조약체결권의 통제에 관한 일고찰― 국회의 동의를 중심으로 ―

Study on Control of Treaty-Making Powers in the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Legislative Consent—

미국헌법연구 | 22 | 1 | 2011 | 헌법

한일합방조약의 부존재에 관한 연구

The Non-Existence of the Annexation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법조 | 60 | 4 | 2011 | 법학

THE MEANING OF "ADVICE AND CONSENT" IN THE TREATY-MAKING PROCES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A COMPARATIVE STUDY

한국과 미국에 있어 조약체결에 대한 의회의 조언과 동의의 의미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THE MEANING OF "ADVICE AND CONSENT" IN THE TREATY-MAKING PROCESS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 A COMPARATIVE STUDY

한국과 미국에 있어 조약체결에 대한 의회의 조언과 동의의 의미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Renegotiation and Ratification: The Future of the Korea-U.S. and Korea-EU Free Trade Agreements

재협상과 비준: 한-미, 한-EU 자유무역협정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 25 | 4 | 2010 | 무역학

Renegotiation and Ratification: The Future of the Korea-U.S. and Korea-EU Free Trade Agreements

재협상과 비준: 한-미, 한-EU 자유무역협정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 25 | 4 | 2010 | 무역학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 기본권 보장 :조약의 유보와 부대의견의 효력을 중심으로

UN Convention on Disability Rights and Fundamental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Effect of Treaty Reservation and the Incidental Opinion of the Parliament

제도와 경제 | 6 | 1 | 2012 | 경제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