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물고기)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10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석수어 [ 石首魚 ]

B2:전체

BT (상위어)

 

a03-01 동물 동물

민어과 [ 民魚科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조기 어업 [ --漁業 ]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35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 35 | 2010 | 기타인문학

中部地域 突帶文土器文化의 展開樣相 -江原嶺西地域을 中心으로-

Development of 'Doldae Mun' Pottery Culture in Jungbu region - Focused on Yeongseo Region of Gwangwon Province -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동북한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 연해주와 연변 고고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

The Study of the Bronze Era of Eastern North Korea based on the Archaeological Data of Primorsky and Yanbian

동북아역사논총 | 32 | 2011 | 역사학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The Ethnoichthyological Approach of Croakers (Family Sciaenidae): A Study of Fishermen’s Folk Knowledge in the West Sea, Korea

한국문화인류학 | 45 | 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