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20309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일본고대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237

STNet ID : 1005137

한자 : 倭
기타 : Wa
기타 : Wae
기타 : 야마토(やまと)
기타 : Yamato Wa(倭)
기타 : Yamato(倭)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대 일본 () [ 古代日本 ]

S:동의

UF (비우선어)

 

 

위 [ 委 ]

R1:개념적

RT (관련어)

 

 

일본국 [ 日本國 ]

堤上의 未斯欣 구출과정과 신라의 성장

Process of Saving Misahun by Jesang and Growth of Silla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造成 背景

The Construct background of the Keyhole-tomes in the Residual Region of Kingdom Mahan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麗末의 정세와 圃隱의 明․倭 使行詩 연구-포은의 외교적 역량에 주안하여-

The condition of late Koyro dynasty(麗末) and research of Po-eun's(圃隱) envoy poetry(使行詩) to Ming kingdom(明) & Wei kingdom(倭)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廣開土王代의 南方 政策과 韓半島 諸國 및 倭의 動向

Goguryeo's policy of advance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ovement of kingdoms in it and Japan under the rule of the Great Gwanggaet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加耶·新羅古墳의 年代觀

The chronological standpoint of Gaya·Silla tombs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日本 出土 百濟(系)土器: 出現과 變遷

Baekje Style Pottery excavated in Japan: Its Advent and Changes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Rediscussing the date of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Rediscussing the date of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6世紀百済の対倭外交の様相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6世紀百済の対倭外交の様相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무덤과 祭祀遺蹟을 통해 본 5∼6세기 百濟와 倭

Baekje and Wa of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Examined Through Tombs and Ritual Site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상고시기 한반도 서남부와 일본 큐슈지역 간 교류 및 문화적 상관관계

The Interchange and Cultural Interrelation betwee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yushu Area of Japan in Ancient Times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