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의 초기 시와 언어 미학적 태도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시종과 일본어, 그리고 ‘조선어’
金時鐘と日本語、そして「朝鮮語」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도 거주 조선족의 언어 능력과 언어 태도
A Study on the Language Capacity and linguistic attitudes of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청도 거주 조선족의 언어 능력과 언어 태도
A Study on the Language Capacity and linguistic attitudes of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번역에 나타난 조선어 인식
The cognition on Chosun language of translation in 1920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과제 ─ 일제강점기 ‘조선어학’의 학문적 계보와 국어학사 서술의 단절을 넘어 ─
The Necessity of the Description on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its Problems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 청도 조선족 사회의 언어 정체성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Society in Qingdao, China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An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Sufferings of Mother Tongue and Mis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An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Sufferings of Mother Tongue and Mis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