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막새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D150000 공학 > 건축공학

클래스 : 재료/부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40

한자 :

a04-02 재료/부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기와 () [ 瓦 ]

N1:종류

hasKind (종류)

 

 

명문 수막새 ()

hasKind (종류)

 

 

반원 수막새 ()

R1:개념적

RT (관련어)

 

 

수키와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암막새 ()

百濟 官北里 百濟遺跡의 性格과 時間的 位置 -2008년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Temporal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ekje Remains in Gawnbukli Buyeo

백제연구 | 51 | 2010 | 역사학

百濟 官北里 百濟遺跡의 性格과 時間的 位置 -2008년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Temporal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Baekje Remains in Gawnbukli Buyeo

백제연구 | | 51 | 2010 | 역사학

百濟 烏含寺 수막새 제작기법 -百濟 泗沘期 造瓦技法의 一例-

The Production Technique for the round convex tiles on eaves of Oham Temple in Baekje -An example of the technique in making roof tiles during Sabi period of Baekje-

백제연구 | 51 | 2010 | 역사학

百濟 烏含寺 수막새 제작기법 -百濟 泗沘期 造瓦技法의 一例-

The Production Technique for the round convex tiles on eaves of Oham Temple in Baekje -An example of the technique in making roof tiles during Sabi period of Baekje-

백제연구 | | 51 | 2010 | 역사학

미륵사지 출토 백제시대 암막새 연구

A Study on Concave Tiles of the Baekje Kingdom Era Excavated at the Mireuk Temple Site

고문화 | 76 | 2010 | 역사학

미륵사지 출토 백제시대 암막새 연구

A Study on Concave Tiles of the Baekje Kingdom Era Excavated at the Mireuk Temple Site

고문화 | | 7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