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연구분야 : B19010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신문방송학일반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91

STNet ID : 1000827

한자 : 朝鮮日報
영어 : The Chosun Ilbo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Creator (창작자)

 

 

조선일보사 [ 朝鮮日報社 ]

S:전후

PT (이전명)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대한일보 [ 大韓日報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영희 [ 李泳禧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개설신문학사 () [ 開說新文學史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만식 [ 曺晩植 ]

RT (관련어)

연재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사랑의 수족관 () [ --水族館 ]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외 독립운동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OK and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Kim Hak-Moo’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left Youth Group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金學武의 在中獨立運動과 좌파청년그룹

Kim Hak-Moo’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left Youth Group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30년대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의 시대사상: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Mun, Il-Pyŏng's "Cultural Nationalism" History and Its Thoughts in the 1930s : With Focus on Korean Foreign Relations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1930년대 문일평의 ‘문화민족주의’사학의 시대사상: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Mun, Il-Pyŏng's "Cultural Nationalism" History and Its Thoughts in the 1930s : With Focus on Korean Foreign Relations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국학자 홍기문 연구2: 1930년대 홍기문의 언론활동과 학술연구

Study on Hong Ki-Moon, Scholar of Korean Studies (2) -Focusing on journalistic activities and academic research of Hong in the 1930s-

역사비평 | 92 | 2010 | 역사학

국학자 홍기문 연구2: 1930년대 홍기문의 언론활동과 학술연구

Study on Hong Ki-Moon, Scholar of Korean Studies (2) -Focusing on journalistic activities and academic research of Hong in the 1930s-

역사비평 | | 92 | 2010 | 역사학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Newsframes Employed by the New York Times and the Chosun Ilbo in Reporting Korea-US Summit Meetings

미디어, 젠더 & 문화 | 21 | 2012 | 신문방송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A Study on the Change Process and Issues of the CSAT from 1993 to 2009

교육평가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A Study on the Change Process and Issues of the CSAT from 1993 to 2009

교육평가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1920~30년대 문일평의 민족사와 문화사의 서술

Mun Il-pung's writing on Korean national and cultual history during 1920-1930s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문일평의 민족사와 문화사의 서술

Mun Il-pung's writing on Korean national and cultual history during 1920-1930s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코믹스(Comics)의 기획과 대중화 -신문연재만화 <멍텅구리>를 중심으로

Make a plan to Comics in Chosun Ilbo- Focusing on a Comics in 192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Study on Hyun Jin-geon’s full-length translation novel Gray Hair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김사량의 희곡 <호접> 연구

A Study of Kim, Sa-Ryang’s play Hojeop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신문 연작시조 연구

A Study on Newspaper Shijo Series from the Colonial Period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이승복과 신간회 강령의 이념ㆍ노선 -민족주의 좌익전선의 선언ㆍ명문화-

Lee Sǔng-Bok and the Ideological Line of the Shinganhoe’s Platfor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이승복과 신간회 강령의 이념ㆍ노선 -민족주의 좌익전선의 선언ㆍ명문화-

Lee Sǔng-Bok and the Ideological Line of the Shinganhoe’s Platfor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Daejongchinmokhoe's Management of Chosun Ilbo in the 1920s

역사비평 | 92 | 2010 | 역사학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Daejongchinmokhoe's Management of Chosun Ilbo in the 1920s

역사비평 | | 92 | 2010 | 역사학

한국 보수신문의 유사성과 차별성: 조선-중앙-동아일보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orean Conservative Newspapers: An Analysis of Ideology in Chosun-Jungang-Donga Dailys’ Editorial

미디어, 젠더 & 문화 | 15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 보수신문의 유사성과 차별성: 조선-중앙-동아일보 사설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orean Conservative Newspapers: An Analysis of Ideology in Chosun-Jungang-Donga Dailys’ Editorial

미디어, 젠더 & 문화 | | 15 | 2010 | 신문방송학

신간회 창립 주도세력과 민족주의세력의 정치 지형

The Prime Groups of the Establishment of Singanhoi and Political Topography of the Nationalist Group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8 | 2011 | 역사학

≪조선일보≫ 초창기 연재 번역·번안소설과 현진건

Translated or Adapted Serial Novels in the Early Days of ≪Chosunilbo≫ and Hyun, Jin-Gun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문기사를 통해 본 강강술래 전승의 통시적 고찰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A Diachronic Study on Transmission of Gangangsullae by Newspaper Articles -Focusing on articles in 『Chosun Ilbo』 from the rule of Japanese perialism to the present-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신문기사를 통해 본 강강술래 전승의 통시적 고찰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A Diachronic Study on Transmission of Gangangsullae by Newspaper Articles -Focusing on articles in 『Chosun Ilbo』 from the rule of Japanese perialism to the present-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중 관계에 미친 연안파의 위상 재조명: 정치·군사적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朝鮮日報』의 1930년대 영화 관련 활동

『朝鮮日報』の1930年代に於ける映画をめぐる活動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日報』의 1930년대 영화 관련 활동

『朝鮮日報』の1930年代に於ける映画をめぐる活動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