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전제개혁론의 역사적 맥락
The historical meanings of Chong Yak-yong's land reform theory
韓國史學報 |
47 |
2012 |
역사학
에도시대(江戶時代) 후기 일본 經世論家의 에조치(蝦夷地)에 대한 침탈적 인식 고찰
江戸時代後期における日本の経世論家の蝦夷地に対する侵奪的認識の考察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정치활동과 경세론(經世論)
Kosan Yoon Sun-do in 17th century : From Critic To Calamity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
다산 정약용의 ‘소학小學’론(Ⅱ)- 『 아학편兒學編』을 중심으로
Tasan Cheong Yagyong’s Study of “Confucian Elemen¬tary Learning”(II) ― Focusing on Ahakpyeon(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for Children)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A Study on Yu Mong-in(柳夢寅)’s (安邊三十二策)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A Study on Yu Mong-in(柳夢寅)’s (安邊三十二策)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裕齋 宋基冕의 經世論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onfucian Statecraft of YuJae SongGiMyun
간재학논총 |
11 |
2011 |
한국유가철학
한강 정구의 현실인식과 경세관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View of Managing the Society by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이제마의 四端論과 그 경세론적 재구성
李济马的四端论与其经世伦的重新结构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이제마의 四端論과 그 경세론적 재구성
李济马的四端论与其经世伦的重新结构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東還封事」를 통해 본 重峯 趙憲의 改革思想
Cho Hun's thoughts of reformation in view of his thesis "Donwhan Bongsa(東還封事)"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省齋 柳重敎의 經學과 經世論
Lyu Joongkyo's thoughts on Chineses Classics and Statecraft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安潚의 현실인식과 자정 순국
Ahn-Suk’s Perception of Periodical Situation and Patriotic Suicide
한국근현대사연구 |
61 |
2012 |
역사학
이이의 經世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배경
Yulgok(栗谷) Yi I(李珥)’s Statecraft Theory and its Political Setting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이언적의 경세론과 시 일고
A Study on the Governing theory and poetry of Lee eun-juck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