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포

연구분야 :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531

한자 : 瀑布
영어 : waterfall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하천 쟁탈 [ 河川爭奪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폭포선 [ 瀑布線 ]

RT (관련어)

유사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여울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투켈라 폭포 [Tugela falls]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빅토리아 폭포 [Victoria Falls]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요세미티 폭포 [Yosemite Falls]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구룡 폭포 [ 九龍瀑布 ]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비단 폭포 [ 緋緞瀑布 ]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파울루아폰수 폭포 [Paulo Afonso Falls]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이구아수 폭포 [Cataratas del Iguaçu]

이형기 시의 허무의식 연구

A Study on the Nihilistic Ideas in Hyunggi Lee’s Poems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Sensuous use of Poetic Words and Free Movement of Eyes - Focusing on Jeong Ji-yong's Poem 'Pokpo'(Waterfall)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용암류 특성에 의한 제주도 폭포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Waterfalls in Jeju Island Based on Properties of a Lava Flow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 2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