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 예술

연구분야 : G010000 예술체육 > 예술일반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63

한자 : 造形藝術
영어 : Plastic arts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조형성 [ 造形性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c03-03 문화/생활 /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예술 () [ 藝術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공예 () [ 工藝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a04-07 건축물(시설물) /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건축 [ 建築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회화 () [ 繪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조각 [ 彫刻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조형 [ 造形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조형 양식 [ 造形樣式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조형 교육 [ 造形敎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조형 예술 교육 [ 造形藝術敎育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공간 예술 () [ 空間藝術 ]

컬러를 통한 사물의 인식과 내러티브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bjects by Color and Narrative Styl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컬러를 통한 사물의 인식과 내러티브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bjects by Color and Narrative Style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4 | 2010 | 예술일반

李箱의 文學에 나타난 建築과 繪畵의 영향 연구

A Study on Lee-Sang's Literature Are Connected with His Experiences as an Architect & Painter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箱의 文學에 나타난 建築과 繪畵의 영향 연구

A Study on Lee-Sang's Literature Are Connected with His Experiences as an Architect & Painter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箱의 문학과 꼴라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ge to the literature of Lee Sang(李箱)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箱의 문학과 꼴라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ge to the literature of Lee Sang(李箱)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적 상상력의 다원성 고찰

A study on the pluralism of aesthetic imagination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근현대 秋史 추존 양상과 立象盡美未盡善의 한글서예

The phenomenon people revere Chusa in modern and Hangul calligraphies focusing only beauty of the whole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李箱의 <烏瞰圖 : 詩第一號>와 <建築無限六面角體 : 且8氏의 出發>의 새로운 해석 -조형예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veral poems by Lee-Sang with a point of view of the formative art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箱의 <烏瞰圖 : 詩第一號>와 <建築無限六面角體 : 且8氏의 出發>의 새로운 해석 -조형예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veral poems by Lee-Sang with a point of view of the formative art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빛을 활용한 조형표현에 관한 고찰 - 라이트아트(Light Art)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Expression of Formative Art Using Light -Focused on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ve Art in the Light Art -

조형디자인연구 | 13 | 3 | 2010 | 공예

빛을 활용한 조형표현에 관한 고찰 - 라이트아트(Light Art)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Expression of Formative Art Using Light -Focused on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ve Art in the Light Art -

조형디자인연구 | 13 | 3 | 2010 | 공예

조형예술에 있어서 뉴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 관계와 확장표현

Interaction Relation and Extended Expression of New Media Art in Plastic Art

한국디자인포럼 | 35 | 2012 | 디자인

조형예술 작품 분석 유형 및 분석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Artworks Analysis and Analysis Methods in the Plastic Arts

조형교육 | 41 | 2011 | 미술교육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한 3D 네일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3D Nail Art which Expresses the Images of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조형예술의 기초교육을 위한 발상

Thinking of The Formative Arts for General Education

교양교육연구 | 5 | 1 | 2011 | 학제간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