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67

한자 : 族譜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성보 [ 姓譜 ]

UF (비우선어)

 

 

가보 [ 家譜 ]

UF (비우선어)

 

 

가첩 [ 家牒 ]

UF (비우선어)

 

 

세보 [ 世譜 ]

UF (비우선어)

 

 

보첩 [ 譜牒 ]

UF (비우선어)

 

 

가승 [ 家乘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계보 [ 系譜 ]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사 재산 [ 祭祀財産 ]

N1:종류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파보 [ 派譜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족보 편찬 [ 族譜編纂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보소 [ 譜所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항렬 [ 行列 ]

RT (관련어)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가족 관계 () [ 家族關係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팔고조도 [ 八高祖圖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가계 [ 家系 ]

중국 가족․종족 관행의 전개와 변천 - 중국 가족․종족 자료집의 편찬과 의의 -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Chinese Family Practices : Significance and Compilation of Chinese Family Source Book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kwaPalsebo of the late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materials and its recording years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醫科八世譜의 자료적 특성과 의미 — 현전 자료와 그 수록 년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Implication of UikwaPalsebo of the late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materials and its recording years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安東權氏成化譜』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여성의 再嫁 문제

Genealogical Record of Andong Kwon Clan (Chenghua Era Genealogy) and the Remarriage of Women in the Early Period of Chos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57 | 2011 | 역사학

명청시기 휘주의 혼인 풍속 연구

明清时期徽州婚姻的民俗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명말 화북종족과 종족의 재구축 ―산동 청주 『重修邢氏宗譜』사례를 중심으로

Reconstruction of the Clan and Genealogy in North Chinain the Late Ming Dynasty —Taking the Revised Xing Genealogy of Qingzhou as Example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Transformation of the Ulsan Area's Hakseong Yi House(鶴城李氏) Members: Their Escape from the Local "Hyang'ri" Clerk statu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Sajok" figure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 Alteration in the Status of the Local Hyang'ri beings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고등학교 국사 교수 -학습에서의 가계 기록 사료학습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역사문화연구 | 38 | 2011 | 역사학

김대건 가문의 신분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Social Status of the Family of Father Kim Daekeon

교회사연구 | 37 | 2011 | 교회사

종가 문화의 특징과 의의

宗家文化的特征及意义

인문학연구 | 38 | 2 | 2011 | 기타인문학

안강‧기계노씨를 통해서 본 족보자료의 실상과 허상

The Reality and Illusion of an Ancestral Record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ngang Rohs and Gigye Roh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안강‧기계노씨를 통해서 본 족보자료의 실상과 허상

The Reality and Illusion of an Ancestral Record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ngang Rohs and Gigye Roh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古文書를 통해 본 族譜 編刊 과정상의 紛爭

Disputes in the Process of Jokbo Compilation Found in Antique Documents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族譜에 게재된 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 『杞溪兪氏族譜』 와 『潘南朴氏世譜』 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on Genealogical Table in the Choson Dynas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1 | 2011 | 지리학

系譜資料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中人의 사회적 지위

On the Chungin's Status of the Choseon Dynasty Based on Genealogical Material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과 족보: 지역 종족집단의 대응 전략

Family Name Change by Imperial Japan and Korean Genealogy: Preservation Strategy of Local lineage Group

사회과학연구 | 21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과 족보: 지역 종족집단의 대응 전략

Family Name Change by Imperial Japan and Korean Genealogy: Preservation Strategy of Local lineage Group

사회과학연구 | 21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족보에 나타난 성씨의 이거移居와 지역의 역사

A Study on the Clan Segmentation and Migration in Late Joseon Reflected in Genealogical Book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族譜의 인쇄문화사적 접근

A Printing Culture History-Based Approach toward the Genealogy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Choson dynasty and the social status of women — Related with the genealogical records on the family of 15·16 century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족보에서 보는 왕실과의 혼인 기록과 계보 형태

The Appearance of Lineage and Recordings of Marriage with the Royal Family as seen through Genealogies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