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 졸라

연구분야 : A160000 인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79

STNet ID : 9004928

한자 :
프랑스어 : Zola, Émile-Édouard-Charles-Antoine
영어 : Zola, Emile
동의어(UF) : Emile Zola
프랑스어 : Émile Zola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루공 마카르 총서 () [ --叢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자연주의 문학 () [ 自然主義文學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클라라 피비히 [Viebig, Clara]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기 드 모파상 [Maupassant, Guy de]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위스망스 [Huysmans, Georges]

RT_Y (◄관련어)

관련인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실험 소설 () [ 實驗小說 ]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저널리스트들의 논쟁 -민족주의·반유대주의와 정의·인권-

The debates of journalists on Dreyfus Affair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저널리스트들의 논쟁 -민족주의·반유대주의와 정의·인권-

The debates of journalists on Dreyfus Affair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졸라의 소설 「테레즈 라켕Thérèse Raquin」의 인물 연구

Une analyse du personnage dans Thérèse Raquin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포스트모던 미술의 정체성을 위한 마네의 <올랭피아> 해석

Interpretation of Manet's Olympia for the Identification of Postmodern Art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와 염상섭의 소설 비교 -「이불(蒲団)」과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중심으로-

Tayama, Katai and Novel Comparison of Yum, Sang-Seop

일어일문학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와 염상섭의 소설 비교 -「이불(蒲団)」과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중심으로-

Tayama, Katai and Novel Comparison of Yum, Sang-Seop

일어일문학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문학에 나타난 의사의 시선

Der ärztliche Blick in der Literatur

독일어문화권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군중이란 무엇인가 - 『제르미날』의 경우

Qu'est-ce que la foule ? - Germinal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군중이란 무엇인가 - 『제르미날』의 경우

Qu'est-ce que la foule ? - Germinal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글쓰기 속의 도시 - 에밀 졸라와 파리의 야만 -

La ville dans l'écriture - Emile Zola et la barbarie de Paris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소설 『나나』에 나타난 남성적 시선과 여성의 이미지

Le Regard masculin et l'Image de la femme dans《Nana》d'E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소설 『나나』에 나타난 남성적 시선과 여성의 이미지

Le Regard masculin et l'Image de la femme dans《Nana》d'E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Une page d'amour에 나타난 줄리엣의 공간 묘사와 엘렌의 시선

La Description de l'Espace de Juliette et le Regard d'Hélène dans Une Page d'Amour d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Une page d'amour에 나타난 줄리엣의 공간 묘사와 엘렌의 시선

La Description de l'Espace de Juliette et le Regard d'Hélène dans Une Page d'Amour d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소설 "나나 Nana"에 나타난, 여주인공 나나의 공간과 그 의미

L'Espace de Nana et sa signification dans Nana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졸라의 소설 "나나 Nana"에 나타난, 여주인공 나나의 공간과 그 의미

L'Espace de Nana et sa signification dans Nana d'Émile Zola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졸라의 『사랑의 한 페이지Une Page d'amour』와 『나나Nana』에 나타난 욕망의 공간

Espace du Désir dans Nana et Une Page d'Amour d'É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졸라의 『사랑의 한 페이지Une Page d'amour』와 『나나Nana』에 나타난 욕망의 공간

Espace du Désir dans Nana et Une Page d'Amour d'É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