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단체

연구분야 : A040000 인문학 > 종교학

클래스 : 사회(종교)조직/단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93

한자 : 宗敎團體
영어 : religious organization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문화 단체 [ 文化團體 ]

isKindOf (상위 유형)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공익법인 [ 公益法人 ]

N1:종류

hasKind (종류)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교단 [ 敎團 ]

hasKind (종류)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일본 종교 단체 [ 日本宗敎團體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종교 () [ 宗敎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쿰란교단 [ --敎團 ]

hasInstance (사례)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시온산 제국 [ --山帝國 ]

hasInstance (사례)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브라흐마 사마지 [Brahma Samaji]

일제강점기 간도의 한인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Religion and Nationalism of Koreans in Manchuria under Japanese colonization -focused on religious nationalis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간도의 한인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Religion and Nationalism of Koreans in Manchuria under Japanese colonization -focused on religious nationalism-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寺刹의 實體와 法的 性格

A Study on the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토지법학 | 26 | 2 | 2010 | 법학

寺刹의 實體와 法的 性格

A Study on the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토지법학 | 26 | 2 | 2010 | 법학

법인 아닌 사단에 유추 적용되는지 여부와 종교단체에서의 제한 가능성 (대상결정 : 대법원 2009. 11. 19.자 2008마699 전원합의체 결정)

Whether Article 63 of Civil Act Regarding Appointment of Provisional Directors Could Apply By Inference To An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It's Possibility Of Limitation

사법 | 1 | 11 | 2010 | 법정책학

법인 아닌 사단에 유추 적용되는지 여부와 종교단체에서의 제한 가능성 (대상결정 : 대법원 2009. 11. 19.자 2008마699 전원합의체 결정)

Whether Article 63 of Civil Act Regarding Appointment of Provisional Directors Could Apply By Inference To An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It's Possibility Of Limitation

사법 | 1 | 11 | 2010 | 법정책학

The Trans-National Ties of Koryeoins in Russia to Korea

러시아 고려인과 한국의 초국적 연계

역사문화연구 | 38 | 2011 | 역사학

사찰의 단체성과 법적 성격

Organizational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인권과 정의 | 425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