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연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교육활동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0

STNet ID : 1000087

한자 : 經筵
영어 : contest

b01-02 교육활동

행위자

신하 (臣下)

행위대상(자)

왕(王) (王)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경연관 [ 經筵官 ]

조선후기 『朱子封事』의 간행과 활용

The Publication and Use of the During Late Joseon

한국사상사학 | 37 | 2011 | 역사학

尹瓘의 生涯와 活動

The Life and Activity of Yun Gwan(尹瓘)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태권도 품새의 개념정의에 대한 비판적 논의

Critical Discussion of the Definitions in Taekwondo Pumsae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3 | 2011 | 체육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Royal Palace where Politics and Education coexisted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Royal Palace where Politics and Education coexisted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태조의 공론정치: 현안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Gong-Lon Politics of the King Taejo : A Case Study of solving three issue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rticle of The Royal Lecture(經筵記事) in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만력초기 개혁의 배경과 평가 ― 張居正을 중심으로 ―

萬曆初期改革的背景與評價 ― 以張居正爲中心 ―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군주성학(君主聖學)에서 지(知) 공부의 문제

The Problem of Zhi(知) Study in Sage Learning for the Ruler

한국교육사학 | 34 | 1 | 2012 | 교육학

弘治年間(1488-1505)의 經筵과 政局運營 - 내각제 복원과 공론정치와 관련하여-

弘治年間(1488-1505)的經筵和政局運作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成化年間(1465-1487)의 經筵과 정국운영 ― 내각제의 쇠퇴와 科道官體系의 성립과 관련하여 ―

成化年間(1465-1487)的經筵和政局運作 ― 有與內閣制度的衰落和科道官體系的成立做爲連繫 ―

명청사연구 | 34 | 2010 | 역사학

成化年間(1465-1487)의 經筵과 정국운영 ― 내각제의 쇠퇴와 科道官體系의 성립과 관련하여 ―

成化年間(1465-1487)的經筵和政局運作 ― 有與內閣制度的衰落和科道官體系的成立做爲連繫 ―

명청사연구 | | 34 | 2010 | 역사학

明代 經筵制度와 政局運營의 추이 -洪武(1368∼1398)∼弘治年間(1488∼1505)을 중심으로-

明代的經筵制度和政局運營之趨勢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