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관료제

연구분야 : B140106 사회과학 > 행정학 > 행정학일반 > 관료제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939

한자 : 代表官僚制
영어 : representative bureaucracy

d02-01 사회제도

대상2

사회 계층 (社會階層)

목적_t

정부관료제가 그 사회의 모든 계층과 집단에 공평하게 대응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인사 제도 [ 人事制度 ]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비공식적 내부 통제 [ 非公式的內部統制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부 관료제 () [ 政府官僚制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인구 () [ 人口 ]

다양성에 대한 이론 및 연구 동향과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

Theories and Research Trend on Diversity and Its Application to Korea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11 | 1 | 2012 | 행정학

인도의 대표관료제 정책 연구: 적극적 조치 정책의 집행을 중심으로

Indian Representative Bureaucracy and Affirmative Action

행정논총 | 48 | 3 | 2010 | 행정학

인도의 대표관료제 정책 연구: 적극적 조치 정책의 집행을 중심으로

Indian Representative Bureaucracy and Affirmative Action

행정논총 | 48 | 3 | 2010 | 행정학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Representative Role Perceptions of Women in Kore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19 | 1 | 2010 | 행정학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Representative Role Perceptions of Women in Korean Government

한국행정연구 | 19 | 1 | 2010 | 행정학

여성 공무원의 능동적 대표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Exploring Active Representation of Female Civil Servants

행정논총 | 50 | 1 | 2012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