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개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심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742

한자 : 節槪
영어 : integrity

C02 심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절의 [ 節義 ]

RT (관련어)

 

 

정조 () [ 貞操 ]

RT_X (관련어►)

관련 심리

C02 심리 심리

신념 [ 信念 ]

RT_Y (◄관련어)

상징 대상

a03-02 식물 식물

매화 (식물) [ 梅花 ]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나무의 문학적 형상화 - <絶義歌>, <五友歌>(竹), <竹尊者傳>, <抱節君傳>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나무의 문학적 형상화 - <絶義歌>, <五友歌>(竹), <竹尊者傳>, <抱節君傳>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吉再의 綱常論과 處世觀

Giljae(吉再)'s Gangsangron(綱常論) and Life Principles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吉再의 綱常論과 處世觀

Giljae(吉再)'s Gangsangron(綱常論) and Life Principles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백이 숙제 고사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Aspects of the adoption of Bagi Sookje story and its signification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이 숙제 고사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Aspects of the adoption of Bagi Sookje story and its signification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