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설

연구분야 : A120206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 중국소설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87

STNet ID : 9002310

한자 : 中國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중국 () [ 中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중국 산문 [ 中國散文 ]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중국 문학 () [ 中國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국가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의 소설 () [ 演義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중국 근대 소설 () [ 中國近代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지괴 소설 () [ 志怪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지인 소설 () [ 志人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백화 소설 () [ 白話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문언 소설 () [ 文言小說 ]

hasKind (종류)

 

 

중국 현대 소설 [ 中國現代小說 ]

hasKind (종류)

 

 

중국 고대 소설 [ 中國古代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장회 소설 () [ 章回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견책 소설 () [ 譴責小說 ]

번역소설 <홍보석(紅寶石)> 연구 -일본소설 <신문팔이(新聞賣子)> 및 중국소설 <전술기담(電術奇談)>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 an Adapted Novel -Focusing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 with the Chinese Novel of and the Japanese Novel of -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근대 동아시아 敍事學의 지평과 한국 고전소설의 위상 - 韓․中 고전소설의 疏通과 交涉을 읽는 시각의 전환에 대한 제언 -

The Prospect of Premodern East Asian Narratology and the Phase of Korean Classic Novels - A Proposal on the Change of Perspective Reading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of Korean & Chinese Classic Novel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근대 동아시아 敍事學의 지평과 한국 고전소설의 위상 - 韓․中 고전소설의 疏通과 交涉을 읽는 시각의 전환에 대한 제언 -

The Prospect of Premodern East Asian Narratology and the Phase of Korean Classic Novels - A Proposal on the Change of Perspective Reading th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of Korean & Chinese Classic Novel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