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927
한자 : 白奭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한국 현대시 속의 북방, 슬라브, 시베리아 공간 및 역사인식 -백석의 낙원회복의 꿈과 고대사 공간인식을 중심으로-
Spatial Conceptions and Images of 'Bukbang-Northern land', Siberia and Eurasia in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image of the land "Bukbang" in Baek-Seok's poetry-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northern direction(Bukbang)'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poetry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northern direction(Bukbang)'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poetry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26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이주’의 형상화 ― 한국 시에 나타난 다문화의 양상
The Embodiment of Multicultural Space and “Migration” ― the Multicultural Aspects in Korean Poetry
국어교육연구 | | 26 | 2010 | 국어교육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northern direction(Bukbang)'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poetry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northern direction(Bukbang)' represented in Korean Modern poetry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의 청각적 요소와 리듬의 상관성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uditory senses and rhythm in Baek–seok's poem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의 청각적 요소와 리듬의 상관성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uditory senses and rhythm in Baek–seok's poem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Criticism about Poetic Diction and Style Between Kim So Wol and Baek Suk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문학치료적 양상 연구
Study on Curability of Poetry of Bae-kseok through literary therapy perspective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문학 속의 유토피아: 릴케와 백석과 윤동주 - 시적 주체와 공간의식의 관점에서
Literarische Utopie bei Rilke, Baek Shuk und Yoon Dong Ju - Die Rolle des lyrischen Subjekts im imaginären Raum der erdichteten Welt
헤세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Status of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nd Point of Literary Crack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Criticism about Poetic Diction and Style Between Kim So Wol and Baek Suk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Status of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nd Point of Literary Crack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동화시의 시교육적 탐색 -「개구리네 한솥밥」을 중심으로
A Study on Baek-Seok’s poem, ‘Gaegurine Hansotbap’ as a material for poetry educationin the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백석 동화시의 시교육적 탐색 -「개구리네 한솥밥」을 중심으로
A Study on Baek-Seok’s poem, ‘Gaegurine Hansotbap’ as a material for poetry educationin the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백석 시의 총친화 구조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of total fraternity of poems of Baek Seok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경(新京)에서,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시인 백석 연구(4)-
In Xinjing(新京), Poet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을 전후로 한 백석 시의 이행 양상 연구 ― 백석의 번역문 「아동문학론 초」와 동화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itional Aspect of Baeksuk's Poetry taken Cardinal Point about Time of Liber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숭고의 양상
The Aspect of the Sublime in Baek Seo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분단 이후 백석 동시론: ‘유년 화자’와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Criticism of Baek Seok’s children’s poetry since the division of Korea: 'the juvenile narrator' and 'the child as the object'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의 「여승」에 대한 인지시학적 분석-<길 도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Baek Seok's 「The Nun」 in Cognitive Poetics -Focusing on the
국어문학 | 52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을 전후로 한 백석 시의 이행 양상 연구 ― 백석의 번역문 「아동문학론 초」와 동화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itional Aspect of Baeksuk's Poetry taken Cardinal Point about Time of Liber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북방의식 연구
A Study of Northern Consciousness in Baek Su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타자의 윤리
Food and the ethics of others represented in Baek Seok's poems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타자의 윤리
Food and the ethics of others represented in Baek Seok's poems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화자 연구
The study on the persona in the poems of Baek-seok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화자 연구
The study on the persona in the poems of Baek-seok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과 환유적 상상력
A study on the metaphorical expression in Baek seok’s poetry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감정과 언어의 관련 양상
A related aspect of feelings and language in Baek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그리고 여행의 의미
The Landscapes, Gazes and the Meaning of Travel in Baik Suk's Poetry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억의 구현 방식
Realization Mode of Memory Represented in Baekseok's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은유와 환유 구조 ―시 「모닥불」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tructure of metaphor and metonymy of poems of Baek, Seok ― Centered on the poem「Bonfire」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행
A Study on travels of P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행
A Study on travels of P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차이’에 대하여
On “Difference” in B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인 존재론의 탐구에서 동화시에 이르는 길- 백석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The Road to Children’s Poetry from the Quest of Ontology on the Poet ― Focusing on Baeksok’s later poetry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집 『사슴』의 시편을 읽는 또 하나의 방법
Rereading the Works of 『Deer』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환상성 연구
A Study on Fantasy of Baek-Suk's Poems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억의 구현 방식
Realization Mode of Memory Represented in Baekseok's Poem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총친화 구조 연구
Study on the structure of total fraternity of poems of Baek Seok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차이’에 대하여
On “Difference” in B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집 『사슴』의 시편을 읽는 또 하나의 방법
Rereading the Works of 『Deer』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집게네 네 형제』에 함의된 백석의 초근대적 욕망 연구
A Study of Baek Seok's Ultramodern Desire Implied in Four Hermit Crab Brothers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분단 이후 백석 동시론: ‘유년 화자’와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Criticism of Baek Seok’s children’s poetry since the division of Korea: 'the juvenile narrator' and 'the child as the object'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타자의 윤리
Food and the ethics of others represented in Baek Seok's poems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타자의 윤리
Food and the ethics of others represented in Baek Seok's poems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영향성 연구
A Study on Influence in Poem of Baek Seok
현대문학이론연구 | 45 | 2011 | 문학이론
신경(新京)에서,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시인 백석 연구(4)-
In Xinjing(新京), Poet 백석 「흰 바람벽이 있어」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행
A Study on travels of P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기행
A Study on travels of Paek 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북방의식 연구
A Study of Northern Consciousness in Baek Su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감정과 언어의 관련 양상
A related aspect of feelings and language in Baek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과 환유적 상상력
A study on the metaphorical expression in Baek seok’s poetry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숭고의 양상
The Aspect of the Sublime in Baek Seok’s Poetry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 「古夜」에 나타난 설화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folk tale on Baek seok's poem, 「Go-Ya」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 「古夜」에 나타난 설화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folk tale on Baek seok's poem, 「Go-Ya」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희망의 한 풍경으로서 백석의 만주 시편
The scene of hope : Manju poetry written by Baek seok
어문연구 | 65 | 2010 | 한국어와문학
희망의 한 풍경으로서 백석의 만주 시편
The scene of hope : Manju poetry written by Baek seok
어문연구 | 65 |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