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206

한자 : 中國朝鮮族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조선족 () [ 朝鮮族 ]

谈一百年来中国朝鲜族的国籍

백년간 중국조선족들의 국적을 논함

일감법학 | 17 | 2010 | 기타법학

谈一百年来中国朝鲜族的国籍

백년간 중국조선족들의 국적을 논함

일감법학 | | 17 | 2010 | 기타법학

한민족(韓民族)의 준-종족화(準種族化)와 문화 분절화:김일성민족, 중국조선족, 자이니치 사회의 비교연구

Quasi-Ethnicity of the Overseas Koreans and Culture Fragmenta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m Il-sung Minjok, Chinese Chosun Tribe, Zainichi

국제정치연구 | 15 | 1 | 2012 | 사회과학

중국조선족 문학의 정치사회적 과제에 대한 서사적 탐구-김학철의 <해란강아 말하라>의 정치적 담론

A Narrative Study On Political and Social Task of Literature of Chosun Race living in China-political discourse of by Kim Hakcheol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

중국조선족의 초국가적 활동과 한반도 - 디아스포라의 초국가적 성격에 관한 시각을 중심으로

Diaspora’s Transnational Nature and the Home Countr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Korean and Korean Peninsula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中華民族多元一體”로 보는 중국조선족의 정체성 문제

Issues on Identity of Chinese Korean through Pluralistic Unity of the Chinese Nation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中華民族多元一體”로 보는 중국조선족의 정체성 문제

Issues on Identity of Chinese Korean through Pluralistic Unity of the Chinese Nation

신아세아 | 17 | 3 | 2010 | 정치외교학

문화대혁명의 발생과 중국 조선족의 대응- 『연변일보』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and Korean Chinese's Corresponding Actions - Base on novels published on Yanbian Daily -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과 디아스포라

Chinese-Korean and Diaspora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과 디아스포라

Chinese-Korean and Diaspora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닉네임의 언어특징에 대하여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ickname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박가구촌의 유래>에 나타난 남매혼 설화의 변이 양상

The Aspect of Variation of Brother and Sister Marriage Folktale in Chinese-Korean’s Folktale, “The Origin of Pak-ka-goo-chon”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60년대 초반 중국 조선족 장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의 내면화

The Internalization of the National Spirit in the Chinese Ethnic Korean Novel in the Early 60s -Based on Li Genquan's novel Tiger Cliff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태락 설화의 구술자 개입 양상과 의미

An Aspect and Significance of Narrator Interventionin Folk Tales Narrated by Kim, Taerak

한국민족문화 | 44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Images in Novels Written by Chinese-Korean

한중인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Images in Novels Written by Chinese-Korean

한중인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조선민족의 전통미덕을 토대로 한 ‘연변조선족자치주노인절’

‘Roin‐Jul(Senior Citizen's Day) of Yanbian, Chosun‐Jok Self District Government in China on Basis of Chosun Racial Traditional Virtues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문화성격

中國朝鮮族社會的形成與民族文化性質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개혁개방기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농민’ 정체성

The Identity of ‘Peasant’ Appearing in Korean Chinese Novels during Reformation Opening Period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족 정체성의 결정요인: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ole of Socio-Demographic Attributes

동북아연구 | 26 | 1 | 2011 | 국제관계/협력

남북교류 활성화와 재중동포사회의 역할: 현황, 한계 및 전망

Revitalization of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Role of Chinese Koreans: Current Situation, Limits, and Prospects

동서연구 | 22 | 1 | 2010 | 지역학

남북교류 활성화와 재중동포사회의 역할: 현황, 한계 및 전망

Revitalization of the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Role of Chinese Koreans: Current Situation, Limits, and Prospects

동서연구 | 22 | 1 | 2010 | 지역학

경계에 선 정체성 —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의 중국 조선족 미술

Multi-identities of Korean-Chinese Artists - Before and after Reform and Open Policy of China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3 | 2012 | 미술

中国朝鲜族舞蹈教育研究实况考察

중국 조선족무용교육연구실태 고찰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2 | 1 | 2011 | 무용

조선족 농촌여성의 실존적 특징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를 중심으로-

Existing features of Korean women in rural areas of China -Basing on Xu Lianshun’s “Who’s seen the butterfly house”-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Identity Transition among Korean Chinese Reflected in 『Windflower(“Baramggot”)』 ―Focusing on Perspectiv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주인공 의식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Identity Transition among Korean Chinese Reflected in 『Windflower(“Baramggot”)』 ―Focusing on Perspectiv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당대 조선족의 현실 수용의 방식과 그 의미 -황봉룡의 희곡을 중심으로-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of significance of that way: with focus on HwanBong-ryong's Drama

한중인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당대 조선족의 현실 수용의 방식과 그 의미 -황봉룡의 희곡을 중심으로-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of significance of that way: with focus on HwanBong-ryong's Drama

한중인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과 문화산업: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발전전략

Chinese-Koreans and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중국 조선족 세시풍속의 전승과 변화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의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Chinese-Korean Seasonal Custom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