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연구분야 :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2209

한자 : 國語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자매편

y02-01 문헌명 문헌명

춘추좌씨전 [ 春秋左氏傳 ]

헌법과 국가정체성

Constitution et Identité de l’État

서울대학교 법학 | 52 | 1 | 2011 | 법학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A study on Sukhyegiryak of Yeungnam University's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 교과서의 형성과 일제 식민주의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orean Textbook and Japanese Colonialism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of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원한의 화자 이광수

YI Kwang-su, The Narrator of Ressentiment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中國 朝鮮族 「조선어문」의 南北韓 小說 受容 樣相과 統合 「국어」 編纂의 한 方案 考察

A Study on Accepted Aspects of Both Southern And Northern Novels in Writing & Language of Chosun about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And A Method of Compilation of A United Korean Languag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中國 朝鮮族 「조선어문」의 南北韓 小說 受容 樣相과 統合 「국어」 編纂의 한 方案 考察

A Study on Accepted Aspects of Both Southern And Northern Novels in Writing & Language of Chosun about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And A Method of Compilation of A United Korean Languag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東亞細亞 三國의 大學入試 漢文 試驗 比較 考察

The Comparative Study “Chinese Characters test” question in University Entrance Exam test on Korea, China and Japan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探討當今臺灣的語言現象―華語和臺閩語的混用

오늘 대만의 언어현상―대만 표준어와 민남어의 혼용(混用)현상 고찰

중국어문학지 | 36 | 2011 | 중국어와문학

타이완의 다언어현상과 언어정책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어와문학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Diglossia of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language in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Han-Si) and Korean songs(Si-Jo)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고등학교 교과서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와 제언

Issues and Appeals o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High School Textbooks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교과서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와 제언

Issues and Appeals on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High School Textbooks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기 초등학교, ‘황국신민’의 제작 공간- 이이다 아키라의 『반도의 아이들』을 중심으로 -

日帝末期の國民學校, '皇國臣民'の製作空間- 飯田彬の『半島の子ら』を中心として -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 Change of 『Korean』Centering around Text’s Characteristic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일제 말기 초등학교, ‘황국신민’의 제작 공간- 이이다 아키라의 『반도의 아이들』을 중심으로 -

日帝末期の國民學校, '皇國臣民'の製作空間- 飯田彬の『半島の子ら』を中心として -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연계성 연구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Language Art in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통합교육연구 | 7 | 1 | 2012 | 특수교육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春秋左傳」과 「國語」의 天人關係 연구

≪春秋左傳≫和≪國語≫的天人關係硏究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An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Sufferings of Mother Tongue and Mis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언어 통제의 교육사 -‘조선어’ 말살과 ‘국어’ 강요의 폭력성

An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Sufferings of Mother Tongue and Mis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春秋左傳」과 「國語」의 天人關係 연구

≪春秋左傳≫和≪國語≫的天人關係硏究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한어의 규범화와 국어의 창출

Standardization OF Modern Mandarin and Formation OF National Language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근대한어의 규범화와 국어의 창출

Standardization OF Modern Mandarin and Formation OF National Language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First and Second Grad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First and Second Grad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초등교육연구 | 23 | 1 | 2010 | 교육학

2011년 도입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전략 분석 -자기 주도적 쓰기전략을 중심으로-

Analysis of writing strategies in 「Korean」 textbook for high school: Based on self-regulated writing strategie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국어교과서와 ‘(국)문학’ 이데올로기 - 4차 교육과정기 국어교과서의 ‘국문학사’ 인식 및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Korean Textbook and ‘(Korean) Literature’ Ideology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대 ≪國語≫주석본 정리 및 분류

An Arrangement and Categorize on The Annotated Editions of ≪Guoyu≫ by Ancient Chinese Scholars

중국문학연구 | 40 | 2010 | 중국어와문학

역대 ≪國語≫주석본 정리 및 분류

An Arrangement and Categorize on The Annotated Editions of ≪Guoyu≫ by Ancient Chinese Scholars

중국문학연구 | | 40 | 2010 | 중국어와문학

《國語》의 국내 소장현황과 한국문인의 《國語》 활용 연구

韓國所藏《國語》版本以及 古代韓國文人《國語》活用之硏究

중국어문논역총간 | 30 | 2012 | 중국어와문학

12律名의 의미와 전승 현황에 대한 문헌 검토 - 『國語』․『淮南子』․『史記』․『漢書』를 중심으로 -

A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12 Yulmyeong: the Examination of Documents for the Tradition Process - Gugeo, Hoenamja, Sagi, and Hanseo -

인문연구 | 61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國語』 流通과 活用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The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uoYu』 in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時代 『國語』 流通과 活用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The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uoYu』 in Choson Dynasty -Focused on the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Views of Language and the Perception Patterns of a Task Called Korean Establishment: With a focus on the Korean Uniqueness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