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주의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294

STNet ID : 1000853

한자 : 中華主義
영어 : sinocentrism

d01-01 이론/사상

해당국가

중국 (中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화이사상 [ 華夷思想 ]

UF (비우선어)

 

 

중화 사상 [ 中華思想 ]

UF (비우선어)

 

 

화이관 [ 華夷觀 ]

UF (비우선어)

 

 

중화 민족 주의

UF (비우선어)

 

 

중화 중심 주의 [ 中華中心主義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선민 사상 [ 選民思想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중화 () [ 中華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중국 문화 () [ 中國文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북벌론 [ 北伐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대명의리 [ 對明義理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화 세계 () [ 調和世界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연미론 [ 聯美論 ]

RT (관련어)

 

 

중화성 [ 中華性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중화 민족 [ 中華民族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중원문화 (중국) [ 中原文化 ]

중화주의 균열이 초래한 주체의식의 혼란과 극복의 서사 - <태원지> -

A narration about confusion of identity caused by crack in sinocentrism and overcoming it - -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란의 중국 표상:고대 동아시아의 모란 문학 비교연구

The Peony and his/her Representation of China in Ancient East Asia

Journal of korean Culture | 20 | 2012 | 현대시(국문학)

중국의 영향과 동남아의 대응: 상호적 접근시각

Chinese Influence and Southeast Asian Response: An Interactive Approach

동남아시아연구 | 21 | 2 | 2011 | 지역학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An Analysis of Chinese Society in 17-18th Century: Focusing on Language and Translation

중국문학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An Analysis of Chinese Society in 17-18th Century: Focusing on Language and Translation

중국문학 | 65 | | 2010 | 중국어와문학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사토 나오카타와 아사미 케이사이의 화이(華夷)론

-일본적 에스노센트리즘의 진행과 그 부정-

日本思想 | 22 | 2012 | 철학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Chinese traditional recognition of the ocean and the meaning of the ban on the ocean

아태연구 | 1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중국의 전통적 해양인식과 海禁政策의 의미

Chinese traditional recognition of the ocean and the meaning of the ban on the ocean

아태연구 | 1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중세 일본의 자기 정체성과 타자성

Identity and the Otherness in Medieval Japan

사림 | 39 | 2011 | 역사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몽골 민족주의의 전개 - 독립 선언에서 임시정부 수립까지 -

A Development of Mongolian Nation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 From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im government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문화학

<역사비평>과 한국의 중국학 연구

and the Trend of Sinology Study in Korea

역사비평 | 100 | 2012 | 역사학

淸末 중국 외교관들의 교육배경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hinese Foreign Envoys in the Latter Era of the Qing Dynasty

인문과학 | 47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에서 대중국관념의 변화:중화주의, 소중화주의, 탈중화주의

The Changeover of Korean Concept toward China : Sinocentrism, Small-Sinocentrism,and Post-Sinocentrism

아태연구 | 18 | 2 | 2011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