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1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클래스 : 사회제도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142

STNet ID : 1005214

한자 : 二○○七改定漢文科敎育課程
영어 :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d02-01 사회제도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7 개정 교육과정 (고시 제2007-79 호) [ 二○○七改定敎育課程 ]

漢文 短文 敎育의 位階化를 위한 方向 探索

Finding ways of the Hierarchy of the Sino-Korea Short sentence edu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中學校 漢文科 敎育課程의 成就水準 開發을 위한 一考

A Consideration for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revised 2009 Chinese Classics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문과 문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in Research on Sino-Korean and Grammar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문과 교재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Effect And Prospect of Studies for Sino-Korean Subject Textbooks -Focus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ino-Korean Textbooks-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영역 ‘문장의 유형’과 ‘수사’에 관하여

A Study on ‘Sentence Forms’ and ‘Rhetorics’ in the ‘Sino Korean Knowledge’ Area of the 2007 Revised Sino Korean Curriculum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2007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Ⅱ'의 散文 敎育 方向에관한 一考

The Studying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Prose on ≪HanmunⅡ≫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한문과 교육에서 단문의 수준과 범위

The Level and Scope of Short Sentences in the Education of the Sino-Korean Curriculum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