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지

연구분야 : B1601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 지리학사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44

한자 : 地理誌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책(冊) () [ 冊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읍지 () [ 邑誌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5 지도명 지도명

대원일통지 [ 大元一統志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국여지승람 [ 東國輿地勝覽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여재촬요 [ 輿載撮要 ]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 認識樣相 考察 -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Consideration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on the ‘Section of Dongpalcham’ Shown in Yeonhaengsi-Focusing on the settlement perio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燕行詩에 나타난 ‘東八站 區間’ 認識樣相 考察 -壬亂 收拾期를 中心으로-

Consideration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on the ‘Section of Dongpalcham’ Shown in Yeonhaengsi-Focusing on the settlement period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山誌의 개념과 지리산의 山誌

Concept of the Mountain Topography and a Study on the Jiri Mountain Topographies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 申光洙의 『驪江錄』을 중심으로 -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 With a focus on 『Yeogangrok(驪江錄)』 by Shin Gwang-su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지리지에 수록된 진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san in the Topographies of 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한국의 산 연구전통에 대한 유형별 고찰

Study on the Traditional Research Types of Mountain in Korea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한국지리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국외 8개국 지리지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Regional Geographies of Eight Countries for Improving ‘the Geography of Korea’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