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관

연구분야 :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52

STNet ID : 1000855

한자 : 地方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관직 () [ 官職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감병사 [ 監兵使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관찰사 [ 觀察使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감군 [ 監軍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부사 [ 府使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현령 [ 縣令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수령 [ 守令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목사 [ 牧使 ]

R1:개념적

RT (관련어)

 

 

지칙 [ 支勅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계문 [ 啓聞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경관 (관직) [ 京官 ]

박태보의 정치에 대한 기대와 지방관으로서의 태도 고찰

A Study on Park Tae-Bo's Expectations for Politics and Attitude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갑오개혁기 정부의 관리등용제도

The Appointment System of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Gabo Reformation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吳宖黙(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governing prefecture-county through the case of Oh Hoengmook(1834∼?) -Relating to model of 'good administration' government official-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吳宖黙(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governing prefecture-county through the case of Oh Hoengmook(1834∼?) -Relating to model of 'good administration' government official-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