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

연구분야 : A030000 인문학 > 철학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75

STNet ID : 1000856

한자 : 知性
영어 : intellect
영어 : intelligence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지知 () [ 知 ]

RT (관련어)

관련용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지력 [ 知力 ]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에듀테인먼트와 시의 연계성 제안을 겸하여

Matters of death and ethic in Yu Chi-Hwan's poem -included to propose connectivity between a edutainment and poem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치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윤리의 문제 - 에듀테인먼트와 시의 연계성 제안을 겸하여

Matters of death and ethic in Yu Chi-Hwan's poem -included to propose connectivity between a edutainment and poem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감성시학과 변증법들- 김수영의 「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nsitivity poetics and dialecticS - to centered Kim, soo young's poem "Poo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Karma-yoni 개념의 상키야 철학적 적용과 유래

Application and Origin of Sāṃkhya Philosophy on the Concept of Karma-yoni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茶山 事天學의 外延과 實踐性

Tasan's Discourse on the Extension and Practicality of Shitian-Xue(事天學)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1950년대 시의 ‘지성’의 기원

Origin of the 'Noetics' of Poem in the 1950's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간 본성(本性)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 합리성, 자연성, 본래성의 통합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Human Nature: A Synthesis of Rationality, Naturalness and Authenticity

교육철학연구 | 34 | 2 | 2012 | 교육학

교육 시장화 시대의 교사 전문성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Market-Based Education Policy Era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

감성의 윤리학에서 지성의 윤리학으로: 로티와 듀이

Ethics of Intelligence over Sensibility : Rorty and Dewey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동서철학연구 | 58 | 2010 | 철학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Plato's Argument for Philosopher-kingship

동서철학연구 | | 58 | 2010 | 철학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편에서 필연(anankē) 개념

The Concept of Necessity(anankē) in Plato’s Timaeus

서양고전학연구 | 45 | 2011 | 서양고전어와문학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의 한국 자본주의론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종속 발전'론

Kajimura Hideki's View on Post-colonial Korean Capitalism The 'Dependent Development' Theory as an Immanent Development Theory

아세아연구 | 55 | 3 | 2012 | 지역학

1950년대 시의 ‘지성’의 기원

Origin of the 'Noetics' of Poem in the 1950's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학의 儒彿仙 삼교합일이 의미하는 사회적 성격

The social nature of meaning to unify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Immortal Taoism of Donghak

孔子學 | 20 | 2011 | 기타유교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52 | 2010 | 철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 52 | 2010 | 철학

壺山 朴文鎬의 『論語』 이해와 그 특징 - 『論語集註詳說』 「學而」를 中心으로

Ho San Park Mun Ho's understanding and its features about Analects of Confucius-with a variorum edition of Analects of Confucius(論語集註詳說) Hak-i(學而) as the center figure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壺山 朴文鎬의 『論語』 이해와 그 특징 - 『論語集註詳說』 「學而」를 中心으로

Ho San Park Mun Ho's understanding and its features about Analects of Confucius-with a variorum edition of Analects of Confucius(論語集註詳說) Hak-i(學而) as the center figure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코메니우스의 인간이해와 전인적(全人的) 신앙교육 방향

Comenius’ Understanding of Human as the Whole Person and His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한국개혁신학 | 29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 -조명의 문제를 중심으로-

The Theory of Knowledge in Augustinus -Concerning Illumination-

중세철학 | 16 | 2010 | 철학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 -조명의 문제를 중심으로-

The Theory of Knowledge in Augustinus -Concerning Illumination-

중세철학 | | 16 | 2010 | 철학

왕양명의 良知와 철학상담

Liang-chih(良知) of Wang Yang-Ming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철학논집 | 26 | 2011 | 철학

비결정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는가?: 대조 설명을 중심으로

Could Indeterministic Events be Explained?: On Contrastive Explanation for Indeterminism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비결정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는가?: 대조 설명을 중심으로

Could Indeterministic Events be Explained?: On Contrastive Explanation for Indeterminism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에 있어서 정념과 자유의 문제

Le problème de la passion et de la liberté chez Spinoza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최재서의 문학과 정치: 낭만주의론과 지성의 의미 변화

Literature and Politics in Choi Jae-Seo: A Theory of Romanticism and Meaning-Change of Intelligence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윤동주의 <肝> 분석

The Analysis of Yun, Dongju's The Liver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윤동주의 <肝> 분석

The Analysis of Yun, Dongju's The Liver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통서정파의 ‘지성’론과 현대성 성격

"Noetics" and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Lyricists in the 195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고대교육사 연구와 불교 지성으로서 고승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종교교육학연구 | 33 | 2010 | 종교학

한국 고대교육사 연구와 불교 지성으로서 고승

Venerable Monk as Buddhist Intellectual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Education

종교교육학연구 | 33 | | 2010 | 종교학

한국의 영국경험론 수용과 그 평가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British Empiricism in Korea

근대 철학 | 7 | 2012 | 철학

플라톤 파우사니아스의 궤변술을 통해 본 에로스와 노모스

Erōs and Nomos in the Sophistry of Plato's Pausanias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

‘미를 바라봄’ : 플라톤과 플로티누스를 중심으로

The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신의 존재의 기초로서의 신의 인식-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파리문제 I」의 신론에 관한 한 연구-

God’s Understanding as a Fundament of God’s Being

중세철학 | 17 | 2011 | 철학

7세기 지성으로서의 고승(高僧) 의상(義湘) 연구

七世纪的知性人高僧义湘硏究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A Study on the boundary line of ‘culture/politics’ in Youth Culture’s the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헤겔의 주관정신론에서 인식론

Epistemologie in Hegels Lehre vom subjektiven Geis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Relations of Women's Intelligence and Letter in Joseon Korea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Relations of Women's Intelligence and Letter in Joseon Korea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인식론과 서양의 인식론에 관한 비교연구 - 디그나가·다르마끼르띠·로크·칸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Epistemology and the Epistemology in the Western philosophy-In the view of Dignāga, Dharmakīrti, Locke, Kant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覺) - On Kantianism and Buddhism -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가르침과 배움에서 영성형성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A Pedagogical Study on Meaning and Methods of Spirituality Form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