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어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81

STNet ID : 1000857

한자 : 指示語
영어 : demonstratives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지시 대명사 () [ 指示代名詞 ]

hasKind (종류)

 

 

지시관형사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호칭어 () [ 呼稱語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지시 () [ 指示 ]

한국어와 일본어 기사문의 응결장치 분석과 번역 - 인물주제어와 지시어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ohesion Devices in Korean and Japanese News Article Texts and Translation -Centering Around Lexical Cohesion and Demonstratives-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한국어와 일본어 기사문의 응결장치 분석과 번역 - 인물주제어와 지시어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ohesion Devices in Korean and Japanese News Article Texts and Translation -Centering Around Lexical Cohesion and Demonstratives-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이', '그' 계열 지시어의 인용표지적 성격에 대하여-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On the demonstratives 'i', 'ku' which act like quatative markers: focusing on their usage in spoken Korean

형태론 | 12 | 2 | 2010 | 언어학

'이', '그' 계열 지시어의 인용표지적 성격에 대하여-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On the demonstratives 'i', 'ku' which act like quatative markers: focusing on their usage in spoken Korean

형태론 | 12 | 2 | 2010 | 언어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현장 지시어 기능 습득 양상 연구

A Study of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Process of Korean Situational Demonstratives.

한국어교육 | 22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어와 한국어 지시어의 용법 차이 연구

A Contrastive Study on Demonstratives in English and Korean

언어과학 | 18 | 1 | 2011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