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The Introduction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and Seeking Postcoloniality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재삼 시의 전통 구성방식 연구 - 『춘향이 마음』을 중심으로 -
Park jae-sam's poetry traditional reappearance method research - Focused on 『Chunhyangyi Ma-eum』 -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And the Logic of Modern Poetry's Conception - Focused on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between 1957 and 1962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이 된 혁명, 혁명이 된 전통
Traditionalized Revolution, Revolutionized Tradition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