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출생 시인의 시 세계에 나타난 심상지리적 특성 비교 고찰 - 정공채와 정호승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in imaginative geography characteristic of poet come from HaDong - Focus on Jeong Kong-Chae and Jeong Ho-Sung of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Creation and Combination of Local Literature in Korean Folk Ballads: Focused on Gangwon Distric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성선 시 연구 - 지역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e Seong-seon’s poems - Focused on the Aspect of Locality -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주왕산 기행가사의 문예적 실상과 현재적 의미
Literary Fact and the Present Meaning of Poetic Prose of Travel in Juwang Mountain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왕산 기행가사의 문예적 실상과 현재적 의미
Literary Fact and the Present Meaning of Poetic Prose of Travel in Juwang Mountain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에 나타난 지리인식과 襄陽地域의 사회적 상징성
Lee Haejo's geographic awareness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Yangyang Area’as viewed through“The Thirty Poems of Hyeonsan”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마산 근대문학의 탄생과 『마산문예구락부』
A Study on MasanWriter Club(1913) and Regional Literature of Masan City in the early stage of modern era
인문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산 ·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개과정 연구 -1920∼1930년 『동아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Donga-ilbo during the 1920-1930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지 『현대』와 대전문학
Culture journal Hyundae and Daejeon literature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남도고시가의 작품과 연구 동향
Works of Namdo's Old Siga and Research Trends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ㆍ경남지역 동시 연구 - 1920~1930년 조선일보 게재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Current Situation and Task of Studies on the local Poetry in Chonbuk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시동인지 <零度>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Transition from Local to Central -Focused on YoungDo零度-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진주지역 소년문예운동과 진주새힘사 연구
A Study on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of Jinju Area and Jinju Saehims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요산과 향파 소설의 공간정치학 −산업화 시대 소설을 중심으로
Space politics of Kim Junghan and Lee juhong's novel
인문학논총 |
26 |
2011 |
기타인문학
전쟁기 광주지역 문예지 『신문학』 연구
A Study on magazine 『SinMunHak(신문학)』 of Gwangju Area in Korean-War Periods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지역어와 지역문학
A Reg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해방기 대구 ․ 경북 지역 문학매체와 학생시단의 위상
The Status of Groups of Students Poets and Literature Media in Daegu and North Kyungsang Provin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50)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대구 ․ 경북 지역 문학매체와 학생시단의 위상
The Status of Groups of Students Poets and Literature Media in Daegu and North Kyungsang Provin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50)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민요의 지역문학적 성격: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iterature in Folk Ballads : Focused on Chungcheong District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과 매체
The Media and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ures in Daejeon and Chungnam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대전충남 지역문학의 형성과 매체
The Media and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ures in Daejeon and Chungnam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지역 문화담론의 식민지적 대응양상 고찰 - 1930년대 『호남평론』의 경우
A study on the local culture discourse’s confrontation way in colonial situation. - focused on The Honam review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좌담회로 읽는 광주전남 지역문학
Reading Regional Literature in Gwangju-Chonnam through the round-table tal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마산의 문학매체와 '낙타'
The Literary media and Nakta of Masan during Korea war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개성 지역문학의 전개 -북한 지역문학사 연구 1
A Regional Studies o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1 : Issued on Kaesong City
국제언어문학 |
25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Regional Literature and Sociology of Media at Inche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Regional Literature and Sociology of Media at Inche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지역문학 활성화를 위한 試論 -충북지역문학의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Regional Literature -Focusing on the Present State and Challenge on Chungbuk Regional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서울 양반의 거주지 공간개념과 『진청』 「무명씨」 주제의 의미
The Mental map of the anonymous person's sijo, 'JinCheong'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论天津文学中表现出的地方性 - 以冯骥才和林希等作家的“津味”小说为例
A Study on the Regionality in the Regional Literature Color -A Case of the Novels with ChenJin's Local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문화학
지역문학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
A Survey on the Local Approach in Literary Study and It's Orientation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지역문학 활성화를 위한 試論 -충북지역문학의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Regional Literature -Focusing on the Present State and Challenge on Chungbuk Regional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도 혹은 정상화와 지역문학의 역학 : ‘피난문단’과 ‘무크지 시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Mechanics between the institution or ‘the normalization' and the local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